포계사 금고 ( )

목차
관련 정보
포계사 금고
포계사 금고
공예
유물
고려시대의 금고.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금고.
내용

표면지름 34㎝, 측면 너비 8㎝.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 표면 중앙부에는 연화문(蓮花文)을 배치하여 내구(內區)를 이루었고, 태선(太線)을 두드러지게 둘러 배치한 커다란 자방(子房) 안에는 중심부에 유두(乳頭)처럼 도드라진 1개의 연자(蓮子)가 원권(圓圈) 안에 배치되고, 다시 그 둘레에 8개가 다시 둘러져서 모두 9개를 이루었다.

자방 둘레의 연판(蓮瓣)은 판내에 2겹으로 표현되어 10엽 중판(重瓣)을 이루고, 다시 연판 사이에 간엽(間葉)이 표현된 겹꽃의 형식이다. 내구의 연화 둘레에는 양쪽 주연에 가는 선과 가운데 태선으로 된 도드라진 구획선으로 2단의 구획을 주어 전체적으로 볼 때 동심원상(同心圓狀)을 보여준다.

가운데 구획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고 가장 바깥쪽에는 쌍구(雙鉤)의 세선(細線)으로 나타낸 2개의 구름이 쌍을 이루어 3개소에 배치되었다. 뒷면은 주연에 좁은 전을 두른 후 펑 뚫어서 내공(內空)을 이룬 통식의 일반 금고와 같다.

측면에는 굵게 두드러진 태선으로 횡대(橫帶)를 둘렀는데 그 위에 2개의 고리를 붙여 끈을 꿰게 되어 있다. 또 측면에는 ‘泰和二年壬戌四月日 蒲溪寺新造盤子重十斤……(태화2년임술4월일포계사신조반자중10근……)’이라는 음각(陰刻) 명문이 있어 고려 신종 5년(1202)에 주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태화이년명(泰和貳年銘) 고려청동반자(高麗靑銅半子)」(문명대, 『고고미술』82, 1967.5)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