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음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신즙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50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신즙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5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9권 5책. 목판본. 1750년(영조 26) 7대손 홍좌(弘佐)가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홍좌의 발문이 있다.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영모각(永慕閣)에 있다.

권1∼4에 부(賦) 2편, 시·만사(輓詞) 709수, 소(疏) 1편, 장계(狀啓) 3편, 정문(呈文) 2편, 장(狀) 10편, 권5에 서(書) 59편, 권6·7에 전(箋) 2편, 상량문 1편, 송(頌) 1편, 잡저 9편, 녹(錄) 8편, 권8에 제문 20편, 묘지명 2편, 묘갈명 6편, 행장 1편, 권9는 부록으로 만사·제문·행략·행장·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영동염철전판불편장계(嶺東鹽鐵轉販不便狀啓)」에서는 영동지방은 길이 험하고 거리가 멀어서 소금과 철물을 판매함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지적하여 운송수단을 강구하여줄 것을 건의하였다.

「점마시진폐장(點馬時陳弊狀)」은 동래부사로서 역마와 군마를 사육하는 동래마장에서 말을 점고할 때 생기는 폐단을 지적하여 그 시정을 건의한 글이다.

「관향록(管餉錄)」은 1687년(숙종 13) 정묘호란 때 있었던 사실을 기록한 것으로, 각 지방의 의병수, 군량의 수량 및 운반과정, 무기의 종류 등을 적고, 조정의 명령과 방백의 장계 등을 상세히 기재하였다. 정묘호란의 연구에 일단의 자료가 될 수 있다.

이 밖에 『부안현민막소(扶安縣民 疏)』가 있는데, 당시의 사회상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