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마을 사람들 (마을 사람들)

현대문학
작품
이범선(李範宣)이 지은 단편소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이범선(李範宣)이 지은 단편소설.
개설

1957년 1월 『현대문학(現代文學)』에 발표되었고, 이듬해오리문화사(悟理文化社)에서 같은 제목으로 출간한 첫 창작집에 단편 「이웃」·「갈매기」·「수심가(愁心歌)」 등과 함께 수록되었다.

내용

예로부터 학마을 사람들은 학(鶴)을 신처럼 믿어왔다. 왜냐하면 학은 길흉(吉凶)의 전달자였기 때문이다.

학이 날아온 해는 길운이었지만 그렇지 않은 해는 액운이었다. 일제강점기 말 이장(里長) 영감과 박 훈장의 손자들이 징용되어 끌려가던 해는 학이 날아오지 않았지만, 광복이 되고 손자들이 돌아온 해에는 어김없이 학은 날아왔다. 그러던 어느 해 나무에서 학의 새끼 한 마리가 떨어져 죽더니, 이 마을에 전쟁(한국전쟁)이 밀어닥쳤다.

박 훈장의 손자 바우가 인민위원장이 되자 농민들은 반동으로 몰렸고, 바우의 총질로 학이 죽자 마을 사람들은 전에 없는 수난을 겪게 되었다. 모진 피난살이에서 돌아왔을 때 마을은 폐허로 변하였지만, 땅을 버릴 수 없었던 순박하기만 한 농민들은 묵묵히 새로 집을 지으며 마을을 재건하기 시작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에서 작가는 일제 말의 암담한 민족현실에서 한국전쟁의 비참한 상황에 이르기까지 민족적 비애를 소재로 하여, 전쟁의 폐허에서도 삶의 희망을 버리지 않고 삶에 대한 끈적한 애착을 지닌 인간상을 깨끗하고 고고한 학을 매개로 하여 그렸다.

특히, 시적인 문체와 서정적인 정황 묘사로 단편의 새로운 수법을 보여준다. 작가는 이 작품으로 1958년 현대문학상 신인상을 수상하였다. 여기서 작가는 담담한 필치의 서경적(敍景的) 묘사의 수법으로 토착 서민의 생활상을 표현하고 길흉의 미신 또는 무욕(無慾)한 인간상을 다루며, 생활 체험을 작품에 반영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소설의 탐구』(윤병로, 범우사, 1985)
『한국현대소설사』(이재선, 홍성사, 197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