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포집 ()

목차
관련 정보
학포집
학포집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의 시인, 신종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시인, 신종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개설

2권 2책. 연활자본. 1928년 저자의 아들 신유승(辛懰承)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성근(金聲根)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신유승의 발문이 있다.

내용

앞에 저자의 행장이 있고, 권1은 시 582수, 권2는 시 364수, 서(序) 4편, 제문 3편, 만사 3편, 축문 2편, 권선문(勸善文), 통첩(通帖), 품목(品目), 잡저 7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은 시로, 김성근은 서문에서 그의 시가 매우 수준 높은 작품들이라고 극찬하였다.

시형(詩型)은 칠언율시가 대부분이며, 오언·칠언의 절구(絶句)와 배율(排律), 기타 육언시 몇 수가 있을 뿐 고체(古體)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 것은 전혀 없다. 시의 소재나 내용은 매우 다양하다.

자연풍경을 읊은 서경시를 비롯하여 여행 도중의 감회, 이별의 슬픔, 인생에 대한 허무와 고독 등을 읊은 것이 많으며, 술이나 기생 등 서정적이며 낭만적인 소재를 택하고 있는 것도 많다.

또한, 시의 표현내용으로 볼 때 유희적 감정으로 읊은 배체(俳體)도 상당수 있다. 향춘(香春)이라는 기생과의 이별을 노래한 시는 「장기(粧妓)」·「가기(歌妓)」·「무기(舞妓)」·「취기(醉妓)」·「소기(笑妓)」 등 모두 10수로 되어 있는데, 대개 유희적 색채를 띠고 있다.

그러나 대개의 시는 자신의 내면적 진실을 독백체로 호소하여 절실한 감동을 느끼게 한다. 권2의 배율 14수는 각종 과거시험에 뽑힌 과체시로 각각 과거의 명칭·날짜·등급·장소 등을 부주(附註)하였다.

의의와 평가

조선 말기 한시의 작품경향을 파악하는 데 참고자료가 된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