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극협회 ()

연극
단체
1963년 서울특별시에 창립되었던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韓國藝術文化團體總聯合會) 산하의 연극인 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63년 서울특별시에 창립되었던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韓國藝術文化團體總聯合會) 산하의 연극인 단체.
개설

한국연극협회(韓國演劇協會)는 연극예술인과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가 조직한 연극 단체의 하나로, 연극예술의 향상 보급 및 보존, 연극인 및 연극단체의 지도 육성, 연극의 국제교류, 공연에 수반되는 제반 사항 등 연극예술의 창달·발전을 기하는 동시에 연극인 상호간의 친목과 복리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1963년에 창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이 협회는 5·16 군사쿠데타를 계기로 당시의 정치적·문화적·사회적 혼란을 지양하기 위해서 유치진(柳致眞)·박진(朴珍)·서항석(徐恒錫)·이해랑(李海浪)·이진순(李眞淳) 등 연극계 중진들이 중심이 되어 조직되었다.

초대 이사장은 유치진이었으며 이후 박진·서항석·이진순·차범석(車凡錫)·김정옥(金正鈺)·김동훈(金東勳)·김의경(金義卿)·권오일(權五鎰)·임영웅(林英雄)·정진수(鄭鎭水)·박웅(朴雄)·최종원·이종훈·박계배 등이 이사장을 맡았다.창립 당시의 등록 회원을 포함하여 현재는 5,600여명의 등록회원이 있으며, 전국에 16개 지회를 두고 있다.

이 협회는 창립 초기부터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여 1965년 신인예술제, 직장연극경연대회, 1966년 대학연극경연대회, 1968년 한국신연극기념축전, 1970년 제37차 세계작가대회 대합동공연, 1979년 에드워드 올비(Edward F. Albee) 초청 자작연출공연 등을 개최하였으며, 1971년 한국 연극사 기념행사로 극예술연구회 창립40주년기념 강연회, 1973년 토월회 50주년기념 합동공연, 1978년 신극 70주년기념 심포지엄·자료전시회·기념공연 등을 가진 바 있다.

한편 1967년부터『연극연감』을 발간하였고, 1976년부터는 연극전문지 월간『한국연극』을 출간하였다. 그 밖에도『연극창조의 이론과 실제』(1974)와『한국희곡문학대계』전 5권을 간행하였다.

1983년부터 해마다 개최하는 전국연극인대회는 연극계의 큰 잔치이며, 이 대회에서 1976년에 한국연극예술상이 제정되었고, 〈연극인선언문〉이 채택되었다. 1977년부터 대한민국연극제(현 서울국제연극제), 1983년부터는 전국지방연극제를 한국문화예술진흥원과 공동 주최하여 연극 발전에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1985년부터는 국립극장 주최 대한민국청소년예술제에 참여하여 청소년 연극 발전에도 공헌하고 있다. 1990년대에 들어와 1991년 종합관람권 ‘사랑티켓’을 발행·운영, 1993년 창작극 개발 워크숍), 1996년 대표희곡선집 발간사업, 1996년 전국청소년연극제, 1998년 건전공연물 지원센터운영, 1996년 한일연극인회의 등의 사업을 현재까지 지속·추진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한국연극협회는 1997년에 ITI(International Theater Institute, 국제 극예술 협회)와 공동으로 서울에서 세계연극제를 개최하여 큰 성과를 거둔 바 있다. 그 밖에도 수시로 심포지엄·강연회·워크숍 등을 개최함으로써, 명실공히 한국 연극인의 총집결체 구실을 수행하였으며, 그 규모와 활동을 증가시켰다.

참고문헌

『한국예술사총서 Ⅳ-한국연극·무용·영화사』(대한민국예술원, 1998.)
『예총10년』(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1972)
한국연극협회(www.ktheater.or.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