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산지통기 ()

목차
관련 정보
함산지통기
함산지통기
인문지리
문헌
이반린이 함경도 함흥부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59년에 편찬한 사찬 읍지.
이칭
이칭
함산지(咸山誌)
목차
정의
이반린이 함경도 함흥부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59년에 편찬한 사찬 읍지.
내용

6권 3책. 필사본. 장서각도서에 있다. 이 밖에도 1894년에 편찬된 『함산지통기(咸山誌通記)』가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표지에는 ‘함산지(咸山誌)’로 되어 있다. 1679년(숙종 5) 주여정(朱汝井)이 『함산지』를 찬술하였고, 1731년(영조 7) 그의 아들 기(杞)가 4권으로 증수, 편찬하였다. 그 뒤에 이반린이 『함산지』를 바탕으로 그 뒤의 사실 및 원지에 빠진 사실 등을 증보하여 6권으로 편찬하였다.

내용 구성은 권1에 부계(府界)·연혁(沿革)·군명(郡名)·관원(官員)·성곽(城郭)·제서(諸署)·관우(官宇)·창고(倉庫), 권2에 누정(樓亭)·분야(分野)·산천(山川)·관방(關防)··형승(形勝)·사명(社名)·풍속(風俗)·성씨(姓氏)·토산(土産), 권3에 학교(學校)·능전(陵殿)·사묘(祠廟)·사전(祀典)·봉수(烽燧)·역원(驛院)·파발(擺撥)·목장(牧場)·불우(佛宇)·해진(海津) 등이 실려 있다.

권4는 교량(橋梁)·제언(堤堰)·피거(陂渠)·시장(市場)·도로(道路)·고적(古蹟)·명환(名宦)·관안(官案)·과공(科貢)·음관(蔭官), 권5는 인물(人物)·충의(忠義)·효열(孝烈)·우애(友愛)·우거(寓居)·복거(卜居)·제영(題詠)·호액(戶額)·전안(田案)·부세(賦稅)·공안(貢案)·저곡(儲穀)·이안(吏案)·병안(兵案)·천안(賤案), 권6은 총기(總記)·성조구적(聖祖舊蹟)·영부사적(營府事蹟)·향례총론(鄕禮總論)·향현유사(鄕賢遺事)·민속가요(民俗歌謠) 등으로 되어 있다.

권두에 관찰사 박영원(朴永元)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주기와 이반린의 발문이 있다. 특기할 사항은 관안조에 감사(監司)·도사(都事)·판관(判官)의 제명기(題名記)가 있으며, 다른 읍지에 비하여 항목의 내용이 포괄적이고 세분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