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장단리 고분군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에 있는 삼국시대 가야의 구덩식돌덧널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이칭
이칭
성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에 있는 삼국시대 가야의 구덩식돌덧널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내용

합천군 대병면과 용주면의 접경지이며, 인접한 악견산에 산성이 있으므로 통칭해서 주변분지를 ‘성리’라고도 부른다.

주위의 악견산 · 금성산 · 황매산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들 산에는 산성 · 봉수대 · 폐사지 등 신라시대로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많은 유적들이 곳곳에 분포하며, 특히 금성산 북쪽 경사면과 창리 주변에는 가야시대의 창리고분군과 하금리고분군이 있다.

이 고분군도 창리고분군에 연결된 유적으로 비록 봉토가 유실되고 유구내부가 도굴로 대부분 파손되었지만, 유구의 형태나 출토유물의 특징은 합천댐수몰지구내에 편입되어 얼마 전에 조사된 창리고분내용과 같다.

도굴되어 파괴된 흔적에 의하면 유구는 산돌로 4벽을 장방형으로 쌓아 올리고 장대석 4, 5장을 덮어 개석으로 삼은 수혈식석곽묘가 대부분이다. 또한, 지난 1966년 3월 이곳에서 출토되어 매장문화재(현, 매장유산)로 신고된 병 · 원저광구호(圓底廣口壺) · 유개고배(有蓋高杯) 등의 토기 특징도 앞에 말한 창리고분 출토품과 흡사한 것이다.

따라서, 이 고분군은 인접한 창리고분군 · 하금리고분군은 물론 저포리고분군 · 봉계리고분군 · 반계리고분군 · 삼가고분군과도 서로 관계있다고 생각되며, 그 축조시기는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경에 걸쳐 축조된 것으로 추측된다.

참고문헌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문화재관리국, 1977)
집필자
심봉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