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사부 ()

목차
관련 정보
해동사부
해동사부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김석주의 사 · 부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석주의 사 · 부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상하 2책. 무신자본(戊申字本). ≪해동사부≫에는 서문이나 발문이 없고 김석주의 문집인 ≪식암유고 息庵遺稿≫에 ≪해동사부≫ 서문이 있다. 자신이 해직하여 한거할 때에 우리 나라 제가(諸家)의 사부를 두루 훑어보고 그 중 가장 뛰어난 것을 뽑아 한 질의 책을 만들었다고 하였다. 간행된 해는 미상이다.

≪해동사부≫에 실린 작품의 작자는 이규보(李奎報)·이색(李穡)·이달충(李達衷)·이숭인(李崇仁) 등 고려시대 사람과 서거정(徐居正)·강희맹(姜希孟) 등 조선인 23명, 총 27명이다. 작품 수는 57편이다.

≪해동사부≫ 상책에 이규보의 <조강부 祖江賦>·<춘망부 春望賦>·<몽비부 夢悲賦>와 이색의 <민지사 閔志辭>, 서거정의 <오원자부 烏圓子賦>, 강희맹의 <양초부 養蕉賦>, 김인후(金麟厚)의 <칠석부 七夕賦> 등 36편이 실려 있다.

하책에는 장유(張維)의 <견발문 遣魃文>·<설부 雪賦>·<조령부 鳥嶺賦>, 정홍명(鄭弘溟)의 <서석산부 瑞石山賦>, 이민구(李敏求)의 <남정부 南征賦>·<몽서부 夢筮賦>, 정두경(鄭斗卿)의 <검부 劍賦> 등 21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규보의 <조강부>나 강희맹의 <양초부> 등에는 작품을 짓게 된 내력이 함께 적혀 있다. 이색의 <관어대부 觀魚臺賦>는 동해에 임한 영해부(寧海府)에 있는 관어대에서 맑은 물에 노니는 물고기를 보고 중용(中庸)의 도를 읊은 것이다. 서거정의 <오원자부>는 자기가 기르는 메추리를 고양이가 해칠까 걱정하였다.

그런데 알고 보니 고양이는 쥐를 잡아서 메추리를 해치지 못하도록 막는 직분을 수행하고 있었다. 공연한 의심을 두었던 자신을 반성하면서 사리의 무궁함을 아울러 노래하였다. ≪해동사부≫에 실린 김종직(金宗直)의 <조의제문 弔義帝文>은 사화의 발단이 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초패왕(楚覇王:항우)에게 죽음을 당한 의제를 애도한 것이다. 장유의 <차운유통부 次韻幽通賦>는 반고(班固)의 <유통부>를 즐겨 읽다가 그것에 차운한 것이다. 먼저 성명(性命)의 근원을 들고 다음에는 고금의 세상이 변한 데 대하여 서술하였다.

자기의 뜻이 세상의 혼탁함 속에서 화복을 번갈아 느끼고 있음을 말한 뒤에 끝으로 하늘의 정하신 도리대로 수신(修身)에 힘쓰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해동사부≫의 전체 57편 중에 장유의 작품이 7편으로 가장 많고, 이민구(李敏求)의 작품과 실명씨의 작품이 5편, 이안눌(李安訥)의 작품이 4편 실려 있다.

≪해동사부≫는 우리 나라의 사부를 선정하여 모아놓았다는 의의는 있으나, 그 기준이 편자 개인의 취향에 맞추어져 있어 선택범위가 애매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규장각도서에 활자본과 사본 2종이 전한다.

참고문헌

『한국한문학사』(이가원, 민중서관, 1961)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신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