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옹집 ()

목차
관련 정보
해옹집
해옹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김홍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김홍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20년 후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내희(宋來熙)의 서문이, 권말에 8대손 용철(用轍)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35수, 서(書) 5편, 유문(諭文) 1편, 소(疏) 2편, 권2는 부록으로 유사·행장·묘지명·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주로 만년에 산중에서 한가로이 지내며 느낀 맑고 담백한 심회를 노래한 것들이 많다.

서(書) 가운데 「상황순찰사신(上黃巡察使愼)」은 정유재란 당시 순찰사 황신에게 올린 글로, 호남을 유린한 적들이 곡성에 머물러 있다는 말을 듣고 홍관적(洪官績) 등 정병들과 힘을 모아 적을 무찌르겠노라는 내용이다.

「유적중피로인등문(諭敵中被虜人等文)」은 왜적의 포로가 되어 적진에 끌려간 백성들에게 보낸 글로, 왜적의 멸망이 얼마 남지 않았으니 적들과 함께 있다가 죽음을 당하지 말고 기회를 틈타 탈출할 것을 호소한 글이다.

소 가운데 「청토대마도소(請討對馬島疏)」에서는 1598년 대마도로 물러간 잔적들이 군비를 재정비하고 있다는 소식에 접하고, 적들이 힘을 기르기 전에 대마도를 쳐서 적의 요충을 봉쇄하여 후환을 없이 할 것을 주장하는 동시에, 대마도 토벌을 위한 구체적 계획을 서술하였다.

「청파강화목장소(請罷江華牧場疏)」는 광해군 초년 조정에서 강화도를 말 기르는 목장으로 만들자는 논란이 있었을 때, 이 곳이 국방의 요충이며 인구의 대부분이 대대로 정착해 내려온 경작농가지대임을 들어 그 부당성을 지적한 글이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