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우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종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종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1책. 석인본. 1934년 이근호(李根浩)가 편집하고, 김재(金梓)가 주관하여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석신(張錫藎)·임병룡(林秉龍)의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는 시 31수와 서(書) 8편이 실려 있다. 시에는 생활 주변의 진솔한 감정이 평이하게 서술되어 있다. 서는 평소 교분이 있었던 곽종석(郭鍾錫)·장석영(張錫英)·전우(田愚) 등의 학자에게 보낸 것으로 학문과 일상안부의 글이다.

권2에는 「추원계서(追源契序)」 외 서 1편, 행장 1편, 묘문(墓文) 1편, 「경서선고오정부군유고후(敬書先考午亭府君遺稿後)」 외 발(跋) 2편이 들어 있다.

그리고 잡저에는 맹자(孟子)의 인(仁)에 대하여 논한 「독곡속장(讀觳觫章)」, 한고조(漢高祖)의 약법삼장을 논한 「약법삼장위득천하근본(約法三章爲得天下根本)」이 수록되어 있다.

권3·4는 부록이다. 권3에는 아들 동호(同浩)가 쓴 가장(家狀)이 실려 있고, 권4에는 장석영 외 23인의 만사(輓詞), 임병룡 외 10인의 제문, 송준필(宋浚弼)이 쓴 저자의 행장, 장석영이 쓴 묘갈명, 임병룡이 쓴 묘지가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