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은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오인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오인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939년 아들 도옥(道玉)이 편집하여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도옥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3에 시 441수, 권4에 서(書) 3편, 서(序) 1편, 기(記) 1편, 지(誌) 1편, 정(呈) 2편, 제문 2편, 애사 2편, 청첩(請牒) 1편, 부록으로 기 4편, 화운 16편, 행장·묘갈명·묘지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모두 500여 수에 달하는 시에는 전원생활의 즐거움과 서정적 감수성이 돋보이는 작품이 많다. 「강촌(江村)」은 맑은 물과 시원한 바람, 흔들리는 갈대를 바라보며 자연과 흔연히 동화되는 기쁨을 잘 표현하고 있다.

서(書) 중 「상가정서(上家庭書)」는 과거 응시차 서울에 올라와 부모에게 올린 글이다. 당시 서울의 사정과 과거에 대한 정보를 적었다.

「여우인서(與友人書)」에서는 책의 귀중함에 대하여 언급하였고, 「학계서(學稧序)」에서는 사회의 발전이 오로지 올바른 배움을 통해서만이 이룩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