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벽 ()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강문팔학사로 불리며 장릉참봉, 익위사세마 등을 역임하였으며, 『관봉문답』, 『관봉유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언명(彦明)
관봉(冠峯)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팔거(八莒)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장릉참봉|익위사세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강문팔학사로 불리며 장릉참봉, 익위사세마 등을 역임하였으며, 『관봉문답』, 『관봉유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팔거(八莒: 星州). 자는 언명(彦明), 호는 관봉(冠峯). 권상하(權尙夏)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영조 때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장릉참봉·익위사세마(翊衛司洗馬)를 지냈다. 시재(詩才)가 뛰어나 많은 저작을 남겼으며, 또 성리학에도 일가를 이루어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에 입각하여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이라는 성리학의 정통성을 이어받아 이간(李柬)과 함께 낙론(洛論)에 속하여 인(人)과 물(物)의 성(性)이 같다고 주장하였다.

한원진(韓元震)에게 답한 별지는 현상벽의 대표적인 성리설의 집약으로, 『중용』의 천명지성(天命之性)과 『맹자』의 성선설을 인용하여 태극(太極)을 통한 오성(五性)의 본원을 밝힘으로써 이이(李珥)의 이통기국설(理通氣局說)을 계승, 발전시켰다.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예론(禮論)에도 정통하였다. 저서로는 『관봉문답』·『관봉유집』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유학사』(배종호, 연세대학교출판부,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