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계유집 ()

목차
관련 정보
호계선생유집
호계선생유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신적도의 시 · 서(書) · 잡저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신적도의 시 · 서(書) · 잡저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판본. 후손 상하(相夏)·돈식(敦植)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이, 권말에 이중구(李中久)·곽도(郭鋾)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에 시·소(疏)·서(書), 권2에 잡저 12편, 잠(箴) 2편, 명(銘) 2편, 제문 6편, 권3·4에 창의록(倡義錄)으로 서(序)·지략(誌略)·통유일향사우문(通諭一鄕士友文)·통유도내문(通諭道內文)·창의목록(倡義目錄), 권5·6은 부록으로 유사·행장·묘표·묘갈명·읍지·봉안문·상향축문·고묘문(告墓文)·사림통문(士林通文)·사우유찰(師友遺札)·제문·만사(輓詞)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가행(歌行)에 뛰어나 「채미가(採薇歌)」·「학산구조(鶴山九操)」와 같은 작품을 남기고 있다. 서(書)는 정구(鄭逑)·장현광(張顯光)·정경세(鄭經世)·이경석(李景奭)·정온(鄭蘊) 등 당대 명유에게 준 것이 많다.

잡저는 「성설(性說)」·「심설(心說)」·「심성정지의변(心性情志意辨)」·「용학도후지(庸學圖後識)」·「인의예지설(仁義禮智說)」·「무극이태극설(無極而太極說)」·「음양설(陰陽說)」·「정의변(情意辨)」·「지의변(志意辨)」 등의 성리학에 대한 것과, 「가계오조(家系五條)」·「채미헌기(採薇軒記)」 등이 실려 있다.

잠과 명 역시 「존양잠(存養箴)」·「성찰잠(省察箴)」·「동벽명(東壁銘)」·「서벽명(西壁銘)」에서 보듯 심성수양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다.

「창의록」은 병자호란 때의 의병활동을 기록한 것으로 이 방면의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