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고와문집 ()

호고와문집
호고와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유휘문의 시 · 서(書)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조선 후기의 학자 유휘문의 시 · 서(書)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이다. 원집과 별집은 1898년 유휘문의 후손에 의해 목판본으로 간행되었으며, 외집은 1972년 5대손 유병희(柳秉熙)에 의해 석인본으로 간행되었다. 원집의 권1·2에는 350여 수의 시가 실려 있다. 권3∼9의 서(書) 132편은 학문적 질의·응답이 대부분이다. 권10∼17의 「독서쇄의(讀書瑣義)」는 사서삼경에서 종래 논란의 대상이 되었던 구문이나 주석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쓴 것으로서 경서를 연구하는 후학들에게 좋은 참고자료가 된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유휘문의 시 · 서(書)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원집과 별집은 1898년 유휘문의 후손에 의해 목판본으로 간행되었으며, 외집은 1972년 5대손 유병희(柳秉熙)에 의해 석인본으로 간행되었다. 속집은 필사본으로 전하던 것을 1985년 족후손 유정기(柳正基)가 『전주유씨수곡파지문헌총간(全州柳氏水谷派之文獻叢刊)』을 영인 · 출간할 때 수록하였다. 원집에 유필영(柳必永)과 유병희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원집 19권 10책, 별집 10권 5책, 외집 6권 3책, 속집 6권 3책, 합 41권 21책. 목판본(원집 · 별집) · 석인본(외집) · 필사본(속집). 원집 · 별집 · 외집은 규장각 도서 · 장서각 도서 ·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으며, 속집은 『전주유씨수곡파지문헌총간』 제10집에 실려 널리 유포되어 있다.

내용

원집의 권1·2에는 350여 수의 시가 실려 있는데, 서경을 겸한 서정시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권3∼9의 서(書) 132편은 학문적 질의 · 응답이 대부분인데, 스승인 유장원(柳長源)을 비롯해 동학들과 경학 · 성리학의 의문점을 질의 · 응답한 것이다. 권10∼17은 잡저로, 그 가운데 「독서쇄의(讀書瑣義)」는 사서삼경에서 종래 논란의 대상이 되었던 구문이나 주석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쓴 것이다. 경서를 연구하는 후학들에게 좋은 참고자료가 된다.

권12의 「암재기문(巖齋記聞)」은 『대학』 · 『논어』 · 『성학십도(聖學十圖)』 등에서 문제될 만한 곳에 주석을 가한 것이며, 「두릉일기(杜陵日記)」는 유장원의 문하에서 공부할 때 남자호(南子皜)와 더불어 질의 · 응답한 내용을 일기체로 쓴 것이다. 권13의 「천재강록(泉齋講錄)」 · 「관규참언(管窺僭言)」은 태극도(太極圖)와 『근사록(近思錄)』에 대한 자신의 연구와 『소학』 · 『황명속강목(皇明續綱目)』 · 『계몽고의(啓蒙攷疑)』 등의 편찬 경위 및 편차 등을 소개한 것이다.

권15의 「석궁보(釋宮補)」는 옛날 궁실 제도를 연구한 자료로서, 건물의 위치 · 명칭 등이 명기되어 있어 이 방면의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금률설고해(禁律說攷解)」 · 「성률변고해(聲律辨攷解)」는 우리나라의 전통 음악에 대한 이론을 밝힌 것이다. 권16·17의 「서유록(西遊錄)」 · 「북유록(北遊錄)」 · 「남유록(南遊錄)」 · 「동유록(東遊錄)」은 국내외의 여행 기록이다. 「서유록」은 1817년(순종 17) 서울에 다녀온 기행문으로, 석전(釋奠) 때 사용하던 편종(編鐘) · 편경(編磬)의 숫자 등 제례음악(祭禮音樂)에 대한 논의도 보인다.

권18에는 「가례고증서(家禮考證序)」 · 「소학장구서(小學章句序)」 등 서 6편, 「유동호기(遊東湖記)」 등 기 5편, 「서육현금보후(書六絃琴譜後)」 · 「운대사강회록지(雲臺寺講會錄識)」 등 발(跋) 7편, 기후와 조수에 관한 연구인 「동하음양승강설(冬夏陰陽升降說)」 · 「조석설(潮汐說)」 등 설 3편, 권19에는 명(銘) · 사(辭) · 장(狀) 등 4편, 제문 16편, 묘지 4편, 축문 · 행록 모두 각 1편이 수록되어 있다.

별집 8권은 모두 잡저이다. 권1·2의 「관복고증(冠服考證)」은 고대의 모자와 복장에 관한 고증적 연구로서, 태백관(太白冠) · 치포관(緇布冠) · 주현관(周玄冠) · 진현관(進賢冠) 등 모자를 비롯해 허리띠 · 신발 등 20여 조목으로 분류하여 기술하였다. 권3·4의 「가례고증」은 주희(朱熹)의 『가례』를 연구 · 고증한 것으로, 통례(通禮) · 관례 · 혼례 · 상례 · 제례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권5∼7의 「계몽고의(啓蒙攷疑)」는 주희의 『역학계몽(易學啓蒙)』 중에 어렵거나 의심스러운 곳을 연구 · 해석한 것이다. 이황(李滉)의 『계몽전의(啓蒙傳疑)』, 서명응(徐命膺)의 『역학계몽집전(易學啓蒙集箋)』 등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연구된 『주역』 연구서 중의 하나이다. 부록에는 저자의 연보를 비롯해 만사 · 가장 · 행장 · 묘갈명 등이 실려 있다.

외집은 「창랑문답(滄浪問答)」이다. 천지의 이수(理數)를 규명하기 위한 동양 전래의 학문인 천문 · 지리 · 음양 · 오행 · 역수로부터 운명(運命) · 율려(律呂)에 걸친 광범위한 연구 결과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32세 때인 1804년(순조 4)의 저작으로, 창랑주인(滄浪主人)과 사의객(簑衣客)이 대좌해 문답하는 형식으로 내용을 전개하고 있다. 창랑은 저자 자신이요, 객은 논리 전개를 유발하기 위해 설정한 가상 인물이다. 총 170조의 문답으로 이루어진 동양 전래의 지구 중심 우주론이라 할 수 있다.

속집은 원집에서 빠진 것을 수집한 것으로, 권1에 시 121수, 권2·3에 서(書) 79편, 서(序) 1편, 기 6편, 지발(識跋) 7편, 잠명 · 상량문 각 1편, 권4에 설 2편, 축문 1편, 제문 27편, 애사 3편, 뇌사(誄辭) 5편, 잡저 1편, 권5에 잡저 1편, 권6에 잡저 3편과 부록이 수록되어 있다.

설의 「인물성동이설(人物性同異說)」은 인물동성(人物同性)을 주장하는 낙론(洛論)과 인물이성(人物異性)을 주장하는 호론(湖論)을 다 배척하면서, 같으면서도 다르고 다르면서도 같다는 절충설을 주장하고 있다. 잡저 가운데 「시괘고오해(蓍卦考誤解)」는 주희의 「시괘고오」를 재해석한 것이다. 『주역』의 시초점(蓍草占)을 연구하는 데 하나의 지침서가 된다. 「독서쇄의」는 경서 중에 난해하거나 의심되는 곳을 찾아 그 뜻을 풀이한 것이다.

「북유록물산요속(北遊錄物産謠俗)」은 우리나라의 토산물에 대한 연구로, 곡식 · 과일 등을 비롯해 해산물인 어류까지 망라해 다루고 있다. 이밖에 「만록(謾錄)」은 전문적인 연구는 되지 못하지만, 우리의 토산품 연구사에서 언급되어야 할 자료이다. 잡저에서는 유학발전사에서 양명학(陽明學)이나 서학(西學)에 휩쓸리지 않고 유교의 순수성을 꿋꿋이 지켜온 공은 퇴계학파인 영남 지방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