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선 ()

교통
지명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전조차장역과 전라남도 목포시 목포역 사이를 연결하는 철도.
정의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전조차장역과 전라남도 목포시 목포역 사이를 연결하는 철도.
개설

경부선과 분기하는 대전광역시에서 시작하여 호남지방의 서부 평야지대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철도로서, 길이는 252.5㎞이다.

형성 및 변천

호남지방은 비옥한 평야의 곡창지대인 동시에 긴 해안선이 있어 수산자원이 풍부한 곳이다. 그리하여 호남지방의 서부를 관통하는 호남선은 우리나라의 간선철도인 경부선·경의선·경원선에 비하여 정치적·군사적 중요성이 덜한 반면 경제적 유용성이 큰 노선이었다. 따라서 일찍부터 철도 부설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896년 프랑스 휘브릴회사의 그리루가 서울∼목포간 경목선부설권(京木線敷設權)을 우리나라 정부에 요구한 것이 철도 건설의 시초이다. 이후 일본·영국에서도 철도부설을 요구해 오자, 우리 정부에서는 1898년 8월 호남선관설안(湖南線官設案)을 의결하여 독자적으로 선로를 부설하고자 하였다.

1904년 5월 서울에서 목포에 이르는 철도를 부설하려 하였으나, 수원·천안·대전을 경유하여 영남지방으로 향하는 경부선 철도의 부설권이 일본에 넘어감에 따라 독자적인 간선철도 부설에 실패하였다. 이후 조선총독부의 주관 아래 경부선의 지선 형식으로 공사가 시작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1년 7월대전∼연산간 39.9㎞를 개통한 것을 시작으로, 연산∼강경 구간(1911년 11월), 강경∼이리 구간(1912년 3월), 이리∼김제 구간(1912년 10월), 김제∼정읍 구간(1912년 12월), 나주∼학교 구간(1913년 7월), 학교∼목포 구간(1913년 5월), 광주송정∼나주 구간(1913년 10월), 정읍∼광주송정 구간(1914년 1월)이 차례로 개통되었다. 1914년 1월 22일 총 260.6㎞의 호남선 전통식이 목포에서 거행되었다.

이렇게 개통된 호남선은 호남지방의 미곡을 일본으로 수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호남선의 주요 지점에 미곡 집산지가 들어섰고, 미곡 적출항으로 연결되는 지선도 개통되었다. 대전역에서 호남선과 경부선을 연결할 때 서울방향이 아닌 부산방향으로 접속한 것도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한다.

1968년 1월 4일 복선화 공사를 착공하여, 1969년 6월 1일 두계∼개태사간 9.4㎞를 개통한 것을 시작으로, 1978년 3월 30일 대전∼이리간 88.6㎞의 복선 완료 개통식을 가졌다. 그 뒤 이리∼정읍간 43.4㎞를 1985년 11월 15일에, 정읍∼장성간 32.4㎞를 1987년 12월 4일에, 장성∼광주송정간 21.9㎞를 1988년 9월 6일에 각각 준공하였다. 광주송정역에서 목포역까지의 복선화는 2003년 12월에 완료되었다.

2004년 4월 전철화가 완료되었으며 고속열차가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장항선이 군산을 경유하여 익산역까지 연장됨에 따라 장항선 열차의 일부는 서대전역까지 운행하고 있다. 호남선은 서대전역에서 대전선과 연결되고, 채운역에서는 강경선과, 익산역에서는 전라선 및 장항선과, 안평역에서는 장성화물선과, 광주송정역에서는 경전선 및 광주선과 각각 연결된다.

현황

2009년 현재 호남선을 운행하는 여객열차는 상행선(서대전행)과 하행선(목포행)이 각각 1일 30회씩 운행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여객열차가 호남선 전 구간을 운행하는 것은 아니다.

2008년의 여객수송량은 7,538,996명이다. 여객수송량은 경부선 다음으로 많지만, 화물수송량은 287,065톤으로 우리나라 전체 철도화물의 0.7%에 불과하다. 호남선을 이용하는 화물수송량은 지속적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화물품목은 컨테이너가 166,262톤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무연탄 91,312톤이며, 그 외에 건설자재·잡화 등의 화물이 처리되었다.

이 철도가 통과하는 인근의 관광 명승지로는 금산사·변산반도국립공원·내장산국립공원·백양산·유달산·영산강하구둑·월출산국립공원 등이 있다. 홍도·흑산도·진도·완도 등의 도서 관광지와 연계되기도 하며, 목포항에서 출발하는 제주도 여객선 일정과 연계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철도통계연보』(한국철도공사, 2009)
『교통통계연보』(건설교통부, 1997)
『철도통계연보』(철도청, 1997)
『한국도로사』(한국도로공사, 1981)
『한국철도80년약사』(철도청, 1979)
『한국철도사』2(철도청, 1974)
『한국교통60년약사』(교통부, 1960)
『조선철도사십년약사』(조선총독부 철도국, 1940)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