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야 ()

현대문학
문헌
호남공론사에서 이동주의 시 「새댁」 · 「황혼」 · 「혼야」등을 수록하여 1951년에 간행한 시집.
정의
호남공론사에서 이동주의 시 「새댁」 · 「황혼」 · 「혼야」등을 수록하여 1951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A5판. 174면. 작자의 제2시집으로, 1951년 호남공론사에서 간행하였다. 책머리에 「동주에게」라는 어머니의 글월과 김현승(金顯承)의 서문 및 작가 서문이 있고, 「새댁」·「황혼」·「혼야」·「귀농」·「사랑방」·「궐기사」 등 24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김현승은 서문에서 “민족여명기의 빛나던 희망과 이상을 오늘의 현실 위에서 뼈아프게 그리워하고 호소한다.”고 말하였으며, 시인은 “30장년으로 출전 전야의 심경에서 모아본 것이다.”라고 간행의 동기를 밝히고 있다.

대체로 정한(情恨)과 풍류를 주된 정조로 하는 향토적 서정의 세계가 심미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혼야」는 이러한 경향이 잘 나타나 있는 이동주의 대표작으로서 1950년 4월『문예』에 서정주(徐廷柱)의 추천을 받은 작품이다.

9연 20행으로 이루어진 이 작품은 지극히 사이좋은 부부의 모습을 비둘기로 노래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신방(新房)의 아늑하고 화려한 정취를 묘사하며 황홀한 심정을 노래하고 있다.

또한, 화려한 시어 및 ‘∼오이까’·‘∼이다’·‘∼고녀’ 등 문어적 어미(文語的語尾)를 사용하여 고전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시집은 향토적 서정의 세계를 밀도 있는 묘사로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시논고』(최원규, 예문관, 1985)
『현대한국시인연구』(김해성, 대학문화사, 1985)
『한국현대시의 현장』(정한모, 박영사, 1983)
「고(故) 이동주의 문학과 인간」(최승범, 『월간문학』2-4, 1979)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