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원향교 ()

목차
유적
북한 함경남도 홍원군 홍원읍 학두봉(鶴頭峰) 아래에 있는 조선전기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목차
정의
북한 함경남도 홍원군 홍원읍 학두봉(鶴頭峰) 아래에 있는 조선전기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내용

조선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던 것을 1601년(선조 34)에 현감 정하(鄭廈)를 중심으로 한 유생들이 힘을 합하여 대성전을 복원하였다.

1604년에 현감 윤수(尹綬)가 교생 강사홍(姜士弘)·강득문(姜得文) 등과 더불어 위패를 봉안하였다. 그 뒤 현감 김수현(金壽賢) 등이 명륜당을 증축하고 동재·서재와 광풍루(光風樓)를 설립하였다.

1681년(숙종 7)에 현감 황류(黃瑠)와 교양관 장진문(張振文)이 풍수설에 따라 북문 밖으로 옮겨 지었는데, 이 때의 규모는 5칸의 대성전, 명륜당, 각 4칸의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3칸의 색장간(色掌間) 등이었다.

1691년에 현감 최진한(崔振漢)이 전사청(典祀廳)·제기고(祭器庫)·서책고(書冊庫) 등을 증축하였다. 1811년(순조 11)에는 향교를 옮긴 뒤로 인재가 나지 않는다는 여론에 따라 현감 서유소(徐有素)가 학두봉 아래의 옛터로 이건하였다. 이 향교의 특징은 향교의 분교격으로 각 면마다 서재(書齋)를 두어 초학을 훈육한 일이다.

서재는 양사재(養士齋)를 비롯하여 수덕재(修德齋)·신왕재(神往齋)·남산재(南山齋)·만성재(晩成齋)·경의재(敬義齋)·사의재(思義齋)·경관재(敬寬齋)·매산재(梅山齋)·진수재(進修齋)·사선재(思先齋)·용천재(湧泉齋)·모의재(慕義齋)·모선재(慕先齋)·남학재(南學齋)·사문재(思文齋)·삼영재(三英齋)·육영재(育英齋)·수성재(須成齋)·삼회재(三會齋)·동산재(東山齋)·견룡재(見龍齋) 등 22개가 있었다. 이들 대부분은 뒤에 국민학교로 발전되었다.

1900년대 초 이 향교의 대성전에는 5성(五聖), 10철(十哲), 송조6현(宋朝六賢)과 동무(東廡)·서무(西廡)에 우리 나라 18현(十八賢) 및 중국 94현의 위패를 봉안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국가에서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조선 후기 이래 향교는 교육 기능이 쇠퇴하고 대신 선현에 대한 제향을 통한 교화 기능을 주로 담당하였다. 봄·가을에 석전[釋奠:공자에게 지내는 제사]을 봉행(奉行)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하여 왔다. 1950년대 이후의 사항은 미상이다.

참고문헌

『태학지(太學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홍원구지(洪原舊誌)』
『홍원군지』(홍원군민회, 1973)
『함경남도지』 (함경남도지편찬위원회, 1968)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