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대첩비 ()

목차
관련 정보
남원 황산대첩비 정측면
남원 황산대첩비 정측면
서예
유적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운봉읍에 있는 조선전기 황산대첩의 전승을 되새기기 위해 세운 전공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운봉읍에 있는 조선전기 황산대첩의 전승을 되새기기 위해 세운 전공비.
내용

1577년(선조 10)작. 높이 4.25m. 이 비는 일제 때 일본인들에 의하여 파괴되어 파편만 남아 있는 정도였으나 1957년에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를 그대로 이용하여 중건하였다.

중건된 비는 쌍귀(雙龜)를 떠서 새겨진 듯하며, 본래 모양의 높이 · 너비 · 두께 등은 정확히 고찰할 수 없다. 비문은 김귀영(金貴榮)이 짓고 송인(宋寅)이 썼으며, 전액은 남응운(南應雲)이 하였고, 박광옥(朴光玉)이 세웠다. 1380년(우왕 6) 왜구를 물리친 황산대첩의 전승을 되새기기 위하여 세웠다.

비문에는 당시의 전라도관찰사 박계현(朴啓賢)이 옛날 태조가 승전한 황산이 시대가 흐르고 지명이 바뀌어 잊혀져가니 비석을 세우는 것이 좋겠다고 청을 함에 따라 왕명으로 건립하였음을 비롯하여, 이성계가 10배의 적을 대파함으로써 만세에 평안함이 있다는 것, 그리고 이성계의 업적을 기려 이 비를 세운다는 명문 등이 실려 있다.

글씨는 조맹부(趙孟頫)의 서풍에 기반한 것으로, 조형과 필력에 있어서는 크게 뛰어난 편이 아니다.

참고문헌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
『한국금석문총람』(장충식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84)
『한국금석문대계』 1(조동원, 도광대학교출판국, 197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선주선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