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5m. 회암사지 동쪽 능선 위에 지공(指空)·나옹(懶翁)·무학(無學)의 부도가 남북으로 나란히 있고, 그 남쪽 끝에 이 석등이 있다.
상하 평면은 방형이고 지대석(地臺石)과 하대석은 한데 붙여서 만들었는데, 하대석에는 각 모퉁이와 그 중간에 여의두문(如意頭文)같이 퇴화된 복련(覆蓮)이 조각되고 위에는 받침 1단이 있다.
이 위의 간석(竿石)은 쌍사자로 대신하여 신라 이래의 형식을 따르고 있으나, 가슴과 배가 서로 붙어서 입체감이 없으며 엉덩이가 밑에 닿아서 하지의 표현이 매우 부자연스럽다. 앞다리의 표현도 짧아서 빈약해보이며 키가 작아서 육중한 상층부를 지탱하기 어려워보인다.
상대석에는 하대석과 같이 8엽 앙화(仰花)가 조각되었다. 화사부(火舍部)에는 ○형의 2개의 석재를 좌우에 간격을 두고 놓아서 그 간격으로 생긴 전후공간이 화창(火窓)의 구실을 하고 있다. 네 모퉁이에는 원형의 우주(隅柱: 모서리기둥)를 표시하는 등 이례적인 형식이다.
옥개석(屋蓋石)은 두껍고 처마밑이 반원을 그리면서 들렸고 낙수면(落水面)의 우동(隅棟: 옥개석의 귀마루)은 뚜렷하게 표현되었다. 옥정(屋頂)에는 복발형(覆鉢形) 석재(石材)와 보주(寶珠)가 있다.
이 석등은 충주 청룡사지(靑龍寺址) 보각국사탑(普覺國師塔) 앞의 석등과 매우 유사한 양식이어서 건립 연대는 14세기 말인 조선 전기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