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인시록 ()

목차
관련 정보
회인시록
회인시록
한문학
문헌
조선후기 문인 김석준의 시 82수를 수록하여 1869년에 간행한 시집.
이칭
이칭
홍약루회인시록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인 김석준의 시 82수를 수록하여 1869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2권 1책. 활자본. 표제는 ‘홍약루회인시록(紅藥樓懷人詩錄)’으로 되어 있다. 1869년(고종 6) 김석준의 집에 있는 연백당(硏白堂)에서 간행하였다. 『회인시록』의 권두에 최성학(崔性學)의 서(序)와 김석준의 지(識)가 있다. 권 상·하에 도합 82수가 실려 있다.

내용 및 평가

안연지(顔延之)의 「오군영(五君詠)」과 왕사진(王士禛)의 「회인시(懷人詩)」를 본떠 명공(名公)과 스승과 벗을 회고한 작품이다. 김석준은 1864년 이전의 시는 일일이 스승 이상적(李尙迪)의 점정(點定 ; 하나하나 따져서 정정함.)을 받았다. 이상적 사후 시를 잘 지을 수도 없고 때마침 가을비가 쓸쓸히 내려 이 작품을 지은 것이라 한다.

『회인시록』의 권상에는 국내인물을 추도하고 있다. 그 중에 김정희(金正喜)·신위(申緯) 등에 대한 것은 그 교유를 알게 하고, 기타 이상적·변종운(卞鍾運)·조희룡(趙熙龍)·정지윤(鄭芝潤)·현기(玄錡)·장지완(張之琬)·전기(田琦) 등에 대한 것이 있어 각 인물의 세평을 볼 수 있게 하였다.

그 밖의 조선 후기 인물평을 알게 하였고 기타 승려나 여자까지 포함되어 있다. 『회인시록』의 권하에는 중국과 유구(琉球)의 인물에까지 미쳐 있어 해외의 교류를 아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회인시록』의 속편은 1903년에 지어진 것이다.

『회인시록』에서부터 30여 년이 흘러 그 사이 많은 사람이 유명을 달리하여 따로 100수를 지었다고 한다. 『회인시록』 속편의 권두에 김석준의 지(識)가 있다. 권두서명에 상권으로 되어 있으나 하권은 없다.

다루어진 인물 중에 박규수(朴珪壽)·이유원(李裕元)·김윤식(金允植)·조수삼(趙秀三)·김택영(金澤榮)·강위(姜瑋)·이건초(李建初)·최성환(崔星煥)·이건창(李建昌)·여규형(呂圭亨)·정만조(鄭萬朝)·오세창(吳世昌) 등이 주목된다. 각 인물의 특징을 요약하여 읊고 있다.

김석준의 시는 고고광달(高古曠達)하다거나, 자법(字法)이 원활하고 음조가 맑다는 평을 받는다. 『회인시록』 속편의 권말에 김윤식·김득련(金得鍊)·고영철(高永喆)·김태석(金台錫)·박겸재(朴謙載)의 발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장서각도서 등에 있다.

참고문헌

김동건, 「조선 후기 회인시의 인물 형상화 방식」(『한국학』 36,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종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