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불효 설화 ( )

구비문학
작품
일곱 아들이 홀로 된 어머니를 위하여 다리를 놓는다는 내용의 설화.
이칭
이칭
효불효교 전설, 경주칠교 전설, 칠성교 전설
내용 요약

「효불효 설화」는 일곱 아들이 홀로 된 어머니를 위하여 다리를 놓는다는 내용의 설화이다. 경주에 있는 다리의 유래를 설명하는 이야기로, 일곱 아들이 홀로 된 어머니가 밤마다 개울을 건너는 것을 보고 어머니를 위해 몰래 다리를 놓았다는 것이다. 홀로 된 어머니의 인간적인 욕망과 진정한 효에 관한 문제를 담고 있다.

정의
일곱 아들이 홀로 된 어머니를 위하여 다리를 놓는다는 내용의 설화.
개설

경상북도 경주 지역에서 전승되는 교량 전설(橋梁傳說)로서 '효불효교 전설(孝不孝橋傳說)' · '경주칠교 전설(慶州七橋傳說)' · '칠성교 전설(七星橋傳說)'이라고도 한다. 『동국여지승람』 권 21 「경주 교량」 조에 수록되어 있고, 『한국구비문학대계』 에 28편이 채록되었는데, 각 편의 내용은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내용

『동국여지승람』에서 전하는 효불효교 전설은 다음과 같다. 효불효교는 경주부 동쪽 6리 되는 곳에 있는데, 신라 시대에 아들 일곱을 둔 홀어머니가 그 아들들이 잠든 틈에 남자를 만나러 다녔다. 그 아들들이 이 사실을 알고 서로 의논하기를 “어머니가 밤에 물을 건너다니시니 자식의 마음이 편하겠는가.” 하고 이에 돌다리를 놓았다. 어머니가 부끄럽게 여기고 야행(夜行)의 나쁜 버릇을 고쳤으니, 당시 사람들이 그 다리 이름을 '효불효교'라고 불렀다.

구전 설화에는 이 다리를 일곱 아들이 놓았다고 해서 ‘칠성교’라고 하기도 하고, 일곱 개의 돌을 놓아 만든 다리이기 때문에 ‘칠성교’ 또는 ‘칠교’라 한다고도 전한다. 또한, 어머니에게는 효성스러운 행위이나 돌아가신 아버지에게는 불효가 되는 일을 한 것이라 해서 ‘효불효교’라고 한다는 해석도 있다.

문헌에서는 어머니가 행실을 고쳤다고 하지만, 구비에서는 어머니가 돌다리 덕분에 더 편하게 다닐 수 있게 되어 개가를 했다거나, 돌다리를 놓은 아들이 북두칠성이 되었다는 결말이 첨가되기도 한다.

민간에 전하는 주2에 자식 없는 여인이나 젖이 적은 여인이 이 다리의 교각(橋脚)에 빌면 반드시 영험이 있고, 또 짝사랑으로 고민하는 여인이 이 교각의 돌에 빌면 상대방에게 그 뜻이 전달된다는 전설도 전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설화는 사회의 기본 윤리 강목이었던 효를 어떻게 해석하고 실천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제기한 자료로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가부장제 사회에서 부계의 혈연이 강조되고 가문 보존이 최우선이던 조선조 사회에서 홀어머니의 밤 나들이는 인정될 수 없는 행위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어머니는 어머니이기 전에 한 인간이고 여인이기에 일곱 아들이 어머니의 행위를 비난하지 않고 편의를 제공하였다는 것은 굳어진 효의 관념을 부정하고 인간성을 긍정하였다는 면에서 설화 향유층의 공감을 얻을 수 있었다.

다리를 놓아 삼태성이나 북두칠성 같은 별이 된 아들들 중 돌다리를 놓는 데에 불평했던 아들의 별빛은 다른 별보다 작고 흐릿하다는 이본도 있다. 이러한 양상은 이 작품의 향유층이 아들의 효행을 비범한 신성에 해당하는 가치로 평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능적 욕구가 강하였던 어머니는 다산(多産)과 풍요의 상징이 되는 존재라는 점에서, 자식 못 낳는 여인이나 사랑에 굶주린 사람들에게 기원의 대상이 되었다. 이런 점에서 이 설화는 상층 사회의 윤리 강령보다는 평민의 삶의 원리가 반영된 자료라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1980∼1988)

단행본

장덕순, 『한국설화문학연구』(서울대학교출판부, 1970)

논문

신호림, 「<孝不孝橋> 설화에 내재된 희생제의의 전통과 孝의 의미」(『실천민속학연구』 29, 실천민속학회, 2017)
이원영, 「〈효불효교(孝不孝橋)〉 설화의 변이양상과 원형적 의미」(『온지논총』 25, 온지학회, 2010)
이인경, 「“효불효설화(孝不孝說話)” 연구: 문헌과 구비자료의 비교를 중심으로」(『고전문학연구』 18, 한국고전문학회, 2000)
주석
주1

시내나 강을 사람이나 차량이 건널 수 있게 만든 다리. 우리말샘

주2

민간에서 행하는 미신적인 신앙 관습. 이에는 점, 금기, 민간요법, 주법(呪法)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