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재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서학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서학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49년 손자 치동(致同)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문석린(文錫麟)의 서문이, 권말에 치동의 발문이 있다. 뒤표지에 분질기(分帙記)가 기록되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두에 목록이 있고, 이어 권1에 시 8수, 기(記)·정장(呈狀)·서(敍) 각 1편, 권2는 부록으로 만사 89수, 제문 2편, 행장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시는 몇 수 되지 않으나 소박한 느낌을 준다.

「객창과세(客窓過歲)」는 객지로 떠돌아다니는 처지로 제야를 맞아 고향생각을 하는 괴로운 심사를 표현한 것이다. 이 밖에 운봉(雲峯)에 은거할 목적으로 그간 정들었던 제자들과 헤어지며 지은 증별시(贈別詩)는 작자의 소박하고 진실된 인정미를 보여준다.

「후재자경(厚齋自警)」에서도 자신에게 학문에 대한 재주가 없음을 겸손해하며, 오직 몸으로 실천하여 성현들에 대한 죄책감을 씻어보겠다는 소박한 양심을 표현하고 있다.

기의 「수헌기(睡軒記)」는 진사 오한두(吳漢斗)의 당호(堂號)를 소개하는 글이며, 정장은 같은 마을에 살던 오순영(吳舜泳) 집안의 효행에 대하여 고을수령에게 표창을 상신하는 내용이다.

서의 「문생계서(門生稧敍)」는 1831년(순조 31) 남원·운봉 등지의 65명이 일종의 장학기금을 마련하기 위하여 조직한 화계(禾稧)에 관하여 그 취지와 규약을 기술한 것이다.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