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곡보 ()

목차
관련 정보
가곡보
가곡보
국악
문헌
1959년 이주환이 남창가곡과 여창가곡 등을 수록한 악보. 가곡악보 · 등사본.
목차
정의
1959년 이주환이 남창가곡과 여창가곡 등을 수록한 악보. 가곡악보 · 등사본.
서지적 사항

전체 59면(面).『가곡보(歌曲譜)』는 남창가곡(男娼歌曲)과 여창가곡(女唱歌曲)을 정간보(井間譜)와 율자보(律字譜)에 기보(記譜)한 악보이다.

내용

내용은 남창가곡, 여창가곡, 부록(附錄)의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남창가곡에 수록된 것은 전체 26곡으로 ① 우조(羽調)의 초수대엽(初數大葉, 東窓이), 이수대엽(二數大葉, 江湖에), 중거(中擧, 仁心은), 평거(平擧, 景星出), 두거(頭擧, 구름이), 삼수대엽(三數大葉, 赤土馬), 소용(搔聳, 불아니), 우롱(羽弄, 三月三日), 우락(羽樂, 조다가), 언락(言樂, 碧紗窓), 우편(羽編, 鳳凰臺上), ② 계면조(界面調)의 초수대엽(初數大葉, 靑石嶺), 이수대엽(二數大葉, 잘새는), 중거(中擧, 잇스렴), 평거(平擧, 半넘어), 두거(頭擧, 岳陽樓), 삼수대엽(三數大葉, 朔風은), 소용(搔聳, 어흐마), 언롱(言弄, 李太白), 평롱(平弄, 南薰殿), 계락(界樂, 鐵騘馬), 편수대엽(編數大葉, 鎭國名山), 언편(言編, 寒松亭), 태평가(太平歌, 이랴도), ③ 반우반계(半羽半界)의 반엽(半葉, 三月三日), 편락(編樂, 나무도)에 해당한다.

여창가곡에 수록된 것은 전체 15곡으로 ① 우조(羽調)의 이수대엽(二數大葉, 버들은), 중거(中擧, 靑鳥야), 평거(平擧, 一笑), 두거(頭擧, 一刻이), 우락(羽樂, 바람이), ② 계면조(界面調)의 삼수대엽(三數大葉, 言約이), 중거(中擧, 山村에), 평거(平擧, 楚江), 두거(頭擧, 壬戌之), 평롱(平弄, 北斗), 계락(界樂, 靑山도), 편수대엽(編數大葉, 牧丹은), 태평가(太平歌, 이랴도), ③ 반우반계(半羽半界)의 반엽(半葉, 남하여), 환계락(還界樂, 앞내)으로 되어 있다.

마지막 부록에는 남창 계락에서 우조로 돌리는 5장(五章)과 여창 농(弄)에서 우조로 돌리는 5장(五章)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가곡보』(이주환, 수서원, 1989)
『한국음악학논저해제』(송방송,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