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서변파록 ()

유교
문헌
이준이 노수신에게 보낸 편지인 「상노소재서」중에서 이황을 비난한 내용에 대하여 논박한 유학서. 논박서.
정의
이준이 노수신에게 보낸 편지인 「상노소재서」중에서 이황을 비난한 내용에 대하여 논박한 유학서. 논박서.
개설

『무서변파록(誣書辯破錄)』은 18세기 전반기 경에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계열에서 1720년(숙종 46)에 간행된 『관서문답(關西問答)』 중간본에 수록된 편지가 이황을 비난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논박하고 그 경위를 해명한 책이다. 그 편지 내용은 이언적(李彦迪, 1491∼1553)의 『대학장구보유(大學章句補遺)』에 대한 견해를 피력한 것인데, 그 과정에서 이황이 정존재(靜存齋)이담(李湛, 1510∼1575)에게 답장한 편지인 「답정존재서(答靜存齋書)」를 거론하면서 이황을 비난한 내용이 담겨져 있다. 그런 까닭에 퇴계 문인 계열이 「상노소재서(上盧蘇齋書)」를 무서(誣書)로 규정하고 반박하기 위해 이 책을 간행한 것이다.

편찬/발간 경위

1720년(숙종 46)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의 후손 이후담(李後聃)과 이학년(李鶴年)이 『관서문답』을 중간하면서 이준(李浚, 1540∼1623)의 「상노소재서」를 부록하였다. 영남의 도유(道孺)들이 이를 뒤늦게 보고 훼판을 시도하였으나, 이성량(李成樑) 등이 상언(上言)하여 이를 저지하였다. 도유들이 훼판에 실패하자 이와 관련된 전말을 정리하여 본서를 간행하기에 이른 것이다.

내용

이언적의 손자인 구암(求庵) 이준이 소재(蘇齋) 노수신(盧守愼, 1515∼1590)에게 보낸 편지인 「상노소재서」가 『관서문답』 중간본에 부록된 것에 대해서 그 내용을 조목별로 논파한 내용이다.

본서의 구성은 장절의 구분이 선명하지 않으나 수록 내용은 다음과 같이 다섯 부분으로 구별할 수 있다. ① 저술 경위를 밝힌 서문이다. ② 「상노소재서」와 「답정존재서」의 내용을 그대로 전재한 부분이다. 전자는 이준이 노수신에게 보낸 편지로 이언적의 『대학장구보유』를 거론하면서 이황이 이담에게 답장한 「답정존재서」까지 언급하면서 이황을 비난한 내용이다. 그런 까닭에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답정존재서」를 함께 수록한 것이다. ③ 축조 논파한 부분으로 문제가 되는 부분을 ‘준등서왈(浚等書曰)’로 제시하고, ‘근안(謹按)’으로 논파하였다. ④ 총론(總論)이다. ⑤ 부록(附錄)으로 전체적으로 이준의 후손들이 이전인의 미덕을 기리기 위해 사실을 왜곡한 것에 대해 논박하는 내용이 정리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관서문답』의 간행에 대한 반론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어서 18세기 영남의 지역적 쟁점의 일단을 이해하는 데 참고가 되며, 16세기에 이언적의 『대학장구보유』에 대한 논의를 이해하는 데도 참고가 된다. 한편 이언적의 서손(庶孫)들이 지역사회에서 어떤 위상을 지니고 있었는지를 가늠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관서문답(關西問答)』
『한강선생언행록류조변파록(寒岡先生言行錄謬條辨破錄)』
『구암유고(求庵遺稿)』
『대학장구보유(大學章句補遺)』
『영남문집해제』(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학교출판부‚ 1981)
규장각한국학연구원(e-kyujanggak.snu.ac.kr)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