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상기문록 ()

유교
문헌
조선후기 문인 박찬영이 스승 김원행과의 문답을 정리한 언행록.
정의
조선후기 문인 박찬영이 스승 김원행과의 문답을 정리한 언행록.
서지적 사항

필사본이며 1책 3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미상기문록』은 「선생서(先生書)」‚ 「미상일기(渼上日記)」‚ 「선생어록(先生語錄)」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생서」는 1764년(영조 40)에서 1768년(영조 44) 사이에 김원행(金元行)이 보낸 8편의 서간을 정리한 것이다. 수신자는 흥양(興陽)의 박생원(朴生員), 박대사(朴大士), 박진사(朴進士) 등인데 모두 박찬영(朴璨瑛)의 인척으로 여겨진다.

「미상일기」는 1764년(영조 40) 5월 7일부터 동년 8월 1일까지의 일기다. 성균관 유생이던 박찬영이 미상의 김원행을 처음 배알하고는 자신의 증조가 김원행의 선대와 친분이 두터웠음을 장황하게 설명하는 장면에서 시작된다. 김원행을 사사하며 석실서원(石室書院)에 머물던 유생은 홍낙진(洪樂眞, 1749∼?)과 황윤석(黃胤錫, 1729∼1791), 박찬혁(朴贊爀), 이지완(李之完), 조경륙(趙景陸), 양혁(楊赫), 유집(柳輯) 등 10여 명이다. 「미상일기」는 『대학(大學)』과 『논어(論語)』를 중심으로 각종 성리 개념에 관한 열띤 문답이 내용의 주축을 이루고, 사제 간에 설행되는 각종 예법, 시문(詩文) 제작과 품평, 당대 현안이나 시사(時事)에 대한 토론 등의 내용도 보인다.

「선생어록」은 김원행의 가르침을 정리한 것으로 ‘학문의 요체’, ‘절선(折旋)의 의미’, ‘정(情)과 의(意)의 선후’, ‘『맹자(孟子)』’, ‘『중용(中庸)』’으로 분류하여 기술하였다. 이어서 1771년(영조 47) 11월, 종형 박찬선(朴燦璿)과 함께 영동(永同)의 김원행을 배알했을 때의 일화와 박찬영이 스승에게 질의했던 내용을 다섯 가지로 나누어 적었다.

의의와 평가

김원행과 그의 문인들과의 문답을 정리해 놓은 저술로 김원행의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미호집(渼湖集)』
규장각한국학연구원(kyujanggak.snu.ac.kr)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