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편 ()

유교
문헌
조선후기 문신 윤행임이 명나라 성리학자들의 어록들을 성리학의 기본 개념들에 입각하여 편찬한 유학서.
이칭
이칭
명유성리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윤행임이 명나라 성리학자들의 어록들을 성리학의 기본 개념들에 입각하여 편찬한 유학서.
편찬/발간경위

윤행임(尹行恁, 1762∼1801)의 『성리편(性理編)』은 사실 『명유성리편(明儒性理編)』을 가리킨다. 이 책은 명나라 때 활동하던 저명한 유학자들의 성리학적 사유 세계를 성리학의 핵심 범주로 다시 요약 정리한 것이다.

내용

『성리편』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존재론과 심성론에 관한 것이라면, 다른 하나는 수양론과 관련된 것이다. 존재론과 심성론에 관련된 부분은 ‘이기총론(理氣總論)’을 필두로 ‘태극(太極)’, ‘천지(天地)’, ‘음양(陰陽)’, ‘일월(日月)’, ‘오행(五行)’, ‘귀신(鬼神)’, ‘심(心)’, ‘성(性)’, ‘심성정(心性情)’, ‘기질지성(氣質之性)’, ‘인물지성(人物之性)’, ‘도(道)’, ‘인의예지(仁義禮智)’, ‘성(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수양론과 관련된 부분은 ‘학총론(學總論)’을 필두로 ‘존찰(存察)’, ‘경(敬)’, ‘정(靜)’, ‘지행(知行)’, ‘궁리(窮理)’, ‘극기(克己)’, ‘소학(小學)’, ‘역(易)’, ‘서(書)’, ‘시(詩)’, ‘논어(論語)’, ‘대학(大學)’, ‘중용(中庸)’, ‘맹자(孟子)’, ‘선유(先儒)’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에서 다루는 인물들은 나흠순(羅欽順)과 담약수(湛若水) 등을 포함한 34명의 저명한 명대 유학자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이 책은 내용이나 형식 면에서 많은 부분 황종희(黃宗羲)의 『명유학안(明儒學案)』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명유학안(明儒學案)』
『송명이학사(宋明理學史)』(侯外盧·邱漢生·張豈之 共編, 중화당, 1987)
『송명유학사상사』(구스마토 마사쓰구 지음, 김병화·이혜경 옮김, 예문서원, 2005)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lib.aks.ac.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