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자요어 ()

송자요어
송자요어
유교
문헌
이승엽이 『송자대전』의 핵심을 간추려 1924년에 간행한 유학서. 목.
이칭
이칭
송문지결
정의
이승엽이 『송자대전』의 핵심을 간추려 1924년에 간행한 유학서. 목.
개설

『송자요어(宋子要語)』는 이승엽(李承燁)이 1924년에 송시열의 문집인 『송자대전(宋子大全)』의 핵심을 간추려 간행한 책으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책에서 오진영(吳震泳)은 송자(宋子) 즉 송시열은 후대의 주자로서 주자의 교훈은 세도(世道)와 관계되는 것으로 그의 업적은 절의(節義)를 숭상하여 동주(東周)를 높이고, 징토(懲討)를 엄격하게 하여 윤기(倫紀)를 지탱하게 하고, 향원(鄕原)을 미워하여 정경(正經)으로 돌아오게 한 일이라고 요약하고, 이는 세상에 큰 공이며 이적(夷狄)과 금수(禽獸)가 되는 것을 면하게 해준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그러면서 그는 송시열을 비난하는 당시의 분위기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하였다.

편찬/발간 경위

전우(田愚)의 발문에 따르면, 이승엽은 통서(統緖)가 분열되는 것이 염려되고 전습(傳習)이 잘못되는 것에 분개하여 이 책을 편집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송자대전』에서 독서(讀書), 명의(明義), 입론(立論), 처신과 성실에 힘쓰고, 순서를 건너뛰는 것을 경계하고, 이설(異說)을 물리치고 유선(儒先)을 존중하는 송시열의 교훈을 발췌한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세도(世道)에 도움이 되며, 성혼(成渾)이 주자학의 입문서로 지은 『주문지결(朱門旨訣)』처럼 본서가 송시열의 학문에 지침서인 ‘송문지결(宋門旨訣)’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서지적 사항

1책(40장). 목활자본. 1922년 전우(田愚)의 발문과 1923년 그의 제자 오진영의 발문이 함께 첨부되어 있다. 오진영에 따르면, 조병태(趙炳泰)가 전우의 유지를 받들고 자금을 대어 간행하였다. 1924년 오산봉연활판(鰲山鳳淵活板)을 사용하여 전라남도 장성군(長城郡) 서삼면(西三面) 금계리(錦溪里)의 경양재(景陽齋)에서 간행한 것이다. 내지에는 윤용구(尹用求)의 글씨로 제목을 표기하였고, 책 맨 뒤에 간기와 정오표가 있다. 본문에서는 송시열 문집의 이본사이에 있는 글자의 출입을 교감한 두주가 있다.

내용

『송자대전』에서 발췌한 내용은 다음과 같은데, 주로 문인들과 주고받은 편지가 대부분이다. 진성학소(陳聖學疏), 진계소(陳戒疏), 답이계주-단하(答李季周-端夏), 답김연지-수증(答金延之-壽增), 답김기지-수흥(答金起之-壽興), 답김구지-수항(答金久之-壽恒), 답민대수-정중(答閔大受-鼎重), 답박화숙-세채(答朴和叔-世采), 답이양이-지렴(答李養而-之濂), 답송도원-규렴(答宋道源-奎濂), 여이이중-민서(與李彛仲-敏敍), 답이휘고-광적(答彛輝古-光迪), 답한여석-성보(答韓汝碩-聖輔), 답이성미-석견(答李聖彌-碩堅), 답송희장-광식(答宋希張-光栻), 여송성백-기후(與宋誠伯-基厚), 답윤여량-명우(答尹汝良-明遇), 여신만청-만(與申曼倩-曼), 답정만창-보행(答鄭晩昌-普行), 답한여윤-성우(答韓汝尹-聖佑), 답김군평-만준(答金君平-萬埈), 답권치도-상하(答權致道-尙夏), 답이여구-기홍(答李汝九-箕洪), 여정중순-호(與鄭仲淳-澔), 답김중화-창협(答金仲和-昌協), 답이동보-희조(答李同甫-喜朝), 답송문재-병문(答宋文哉-炳文), 답이중심-행(答李仲深-涬), 답유필경-명뢰(答兪弼卿-命賚), 답정경유-찬휘(答鄭景由-纘輝), 답민정능-진후(答閔靜能-鎭厚), 답기자량-정익(答奇子亮-挺翼), 답심덕승-제(答沈德升-梯), 답윤이화-채(答尹爾和-寀), 답김백온-진옥(答金伯溫-鎭玉), 답김직경-간-중고-재(答金直卿-幹-仲固-栽), 답박대숙-담(答朴大叔-鐔), 답오순지-익승(答吳順之-益升), 답김노-득수(答金魯-得洙), 답이자원-만춘(答李子元-萬春), 답곽제백-노(答郭濟伯-櫓), 답안여익-중겸(答安汝益-重謙), 답송하적-하명(答宋夏績-夏明), 여윤증(與尹拯), 답남학명(答南鶴鳴), 답박경초-상현(答朴景初-尙玄), 답조가운-일주(答曺可運-一周), 답연무경-최적(答延茂卿-最績), 답고처중-두경(答高處中-斗經), 답이사정-담(答李士靜-憺), 답박사술-광후(答朴士述-光後), 답이봉조(答李鳳朝), 답이지수(答李志遂), 답김시중(答金是重), 답주비(答朱棐), 시제자손(示諸子孫), 어록(語錄) 등으로 이루어졌다. 해당 항목에 여러 개의 자료를 선정한 경우도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전우가 조광조·이황·이이·김장생·송시열의 좋은 말을 뽑아 『오현수언(五賢粹言)』을 편찬한 바 있는데, 본서가 송시열의 글에서 뽑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모두 유사한 문제의식에서 편찬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송시열의 학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뿐만 아니라 한말에서 일제시기까지 전북 일대에서 송시열의 위상과 유학적 전통을 이해하는데 참고가 되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송자요어(宋子要語)』
『송자대전(宋子大全)』
『오현수언(五賢粹言)』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