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당문답서초 ()

외당문답서초
외당문답서초
유교
문헌
조선후기 문신 · 학자 이간과 한원진의 서간문과 함께 인물성론에 관한 자료를 모아 편집한 서간집. 유학서.
정의
조선후기 문신 · 학자 이간과 한원진의 서간문과 함께 인물성론에 관한 자료를 모아 편집한 서간집. 유학서.
개설

외암(巍巖) 이간(李柬, 1677∼1727)과 남당(南塘) 한원진(韓元震, 1682∼1751)의 서간문과 그와 관련된 자료를 중심으로 편집한 책으로, 두 인물 사이의 인물성론(人物性論)과 관련된 자료를 편집한 것으로 보인다.

서지적 사항

필사본. 1책(82장) 표지에는 ‘기유하등우삼양관(己酉夏謄于三陽館)’이라는 필사장소와 연대에 대한 기록이 있으나, 시기와 장소를 비정하기 어렵다.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다. 「남당여매봉최성중-징후서(南塘與梅峯崔成仲-徵厚書)」·「외암여최성중서(巍巖與崔成仲書)」·「남당답최성중서(南塘答崔成仲書)」·「외암한산기행시(巍巖寒山記行詩)」·「남당발한산시후(南塘跋寒山詩後)」·「외암답천서윤회보서(巍巖答泉西尹晦甫書)」·「남당여이공거서(南塘與李公擧書)」·「외암여한덕소별지(巍巖與韓德昭別紙)」·「미발영(未發詠)」·「오상영(五常詠)」·「남당답이공거서(南塘答李公擧書)」·「일원이체(一原異體)」·「오상초형기(五常超形器)」·「중용수장주(中庸首章註)」·「대학혹문설(大學或問說)」·「천명오상판위이물(天命五常判爲二物)」·「오상인위기질(五常認爲氣質)」·「맹자생지위성장주(孟子生之謂性章註)」·「이시봉차구교(二詩奉次求敎)」·「이외암미발오상변(李巍巖未發五常辨)」·「인물지성변증(人物之性辨證)-남당(南塘)」·「수암논성설(遂菴論性說)」·「남당답강규환(南塘答姜奎煥)」·「이공거여송무관(李公擧與宋務觀)」·「채군범답한덕소서(蔡君範答韓德昭書)」·「남당시발변설(南塘詩跋辨說)-박유선성원소저(朴諭善聖源所著)」·「제한천시발(題寒泉詩跋)」·「겸산상삼연서(兼山上三淵書)」 등이다.

이간과 한원진 이외에 최징후(崔徵厚), 윤혼(尹焜), 권상하(權尙夏), 송무관(宋務觀), 채지홍(蔡之洪), 강규환(姜奎煥), 박성원(朴聖源), 겸산(兼山), 김창흡(金昌翕) 등이 논쟁에 관계된 인물이다.

「겸산상삼연서」에서 ‘이 이하는 선부군(先府君)의 잡기(雜記)이다.’라고 부기되어 있어서 본서의 편집자를 시사하지만, 확인하기는 어렵다.

의의와 평가

이간과 한원진 사이에 일어났던 인물성논쟁을 요령있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남당집(南塘集)』
『외암 이간의 철학과 삶』(외암사상연구소, 다운샘, 2008)
『호락논쟁 형성과 전개』(문석윤, 동과서, 2006)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