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서절요 ()

이정서절요
이정서절요
유교
문헌
조선후기 북송의 도학자 정호와 정이 형제의 『이정전서』에 핵심을 요약하여 서술한 유학서.
이칭
이칭
이정절요(二程節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북송의 도학자 정호와 정이 형제의 『이정전서』에 핵심을 요약하여 서술한 유학서.
개설

조선후기에 북송의 도학자 정호(程顥)와 정이(程頤) 형제의 문집인 『이정전서(二程全書)』의 핵심을 요약하여 정리한 책이다.

서지적 사항

필사본. 상하 2권 2책. 서문이나 발문이 없어 누가 언제 했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표지에는 ‘이정절요(二程節要)’라고 하였고, 제2책 끝에는 『명심보감초략(明心寶鑑抄略)』 상하 19편이 필사되어 부록되어 있다. 필사한 종이의 재질이 매우 좋은 편이다.

내용

『이정전서』 가운데 요약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권에는 양시(楊時)의 『수어(粹語)』에 수록된 「논도편(論道編)」·「논학편(論學編)」·「천지편(天地編)」ㆍ「심성편(心性編)」·「이유전사설(李龥傳師說)」·「여대림동견이선생어(呂大臨東見二先生語)」·「부동견록후(附東見錄후)」·「사량좌기억평일어(謝良佐記憶平日語)」·「유정부소록(游定夫所錄)」·「소병낙양의론(蘇昞洛陽議論)」·「류순사훈(劉絢師訓)」 등이 수록되어 있다.

하권에는「류원승수편(劉元承手編)」·「양준도록(楊遵道錄)」·「장역사설(張繹師說)」·「당체어록(唐棣語錄)」·「부잡록후(附雜錄後)」·「포약우록(鮑若雨錄)」·「추덕구본(鄒德久本)」·「창잠도본(暢潛道本)」·「주공담록습유(朱公掞錄拾遺)」·「주공담문학습유(朱公掞問學拾遺)」·「이삼정씨학습유(李參程氏學拾遺)」·「풍씨본습유(馮氏本拾遺)」·「호씨본습유(胡氏本拾遺)」·「유씨본습유(游氏本拾游), 「대전집습유(大全集拾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정전서』 가운데 유서(遺書)부분을 중심으로 발췌한 것으로 제자들이 기록해놓은 어록(語錄)과 습유(拾遺) 부분이며, 『이정전서』의 편제로는 대략 1~40권까지 해당하는 부분이다.

의의와 평가

조선후기에 『이정전서(二程全書)』를 이해하는 방식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이정전서(二程全書)』
『정서분류(程書分類)』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