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종합행정학교 ()

국방
제도
육군의 인사행정(옛 부관), 군사경찰, 재정(옛 경리), 정훈, 법무 등 총 5개 특수병과 장병 및 군무원의 보수교육을 담당하는 교육기관.
이칭
이칭
남성대, 종행교, 행정학교, 종합행정학교
정의
육군의 인사행정(옛 부관), 군사경찰, 재정(옛 경리), 정훈, 법무 등 총 5개 특수병과 장병 및 군무원의 보수교육을 담당하는 교육기관.
개설

육군종합행정학교는 행정 및 특수병과 장병들의 교육을 원활하기 위한 군 교육기관으로, 일명 ‘남성대(南城臺)’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남성대’라는 이름은 1969년 11월 11일 학교 건물 준공식 때 박정희 전 대통령이 남한산성의 첫 글자와 끝 글자를 따 명명한 데서 비롯되었다.

내용

종합행정학교는 창설 이후 부관, 군사경찰, 경리, 정훈, 법무, 군종 등 총 6개 병과 장병 및 군무원의 보수교육을 비롯해 해외 파병 장병들에 대한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행정 및 특수병과 장병 교육의 요람’ 역할을 담당했다. 현재 인사행정(옛 부관), 군사경찰, 재정(옛 경리), 정훈, 법무 등 총 5개 분과를 운영하고 있다.

지금까지 육군종합행정학교에서는 육·해·공군 행정병과 장교의 초등군사반 및 고등군사반 교육, 부사관의 초·중·고급반 교육, 군무원 직무보수교육, 군사경찰 및 경리병과 병사들의 특기병 교육 등 총 16만 여명의 졸업생들을 배출하였다.

변천과 현황

1968년 10월 15일 용산 삼각지에서 창설된 육군행정종합학교는 같은 해 11월 10일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으로 이동하였고, 2011년 11월 11일 현재의 충북 영동군 양강면으로 이전하였다.

창설 초기 헌병(이후 군사경찰로 변경)·부관·정보·경리·군수·정훈학처로 편성되었던 조직은 정보학처가 정보사령부로, 군수학처가 군수학교로 각각 예속 전환되고, 법무 및 군종학처가 신설됨으로써 현재 총 6개 병과학처로 운영되고 있다. 2008년 현재 행정부, 교수부, 교육단 등으로 편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육군종합행정학교는 창설 이후 총 16만 여명의 인재를 배출한 ‘행정 및 특수병과 장병 교육의 요람’으로써 국군의 행정 및 전투지원분야의 전투력 강화에 크게 공헌하고 있다.

참고문헌

『육군종합행정학교 연혁(陸軍綜合行政學校 沿革)』(육군종합행정학교, 2008)
집필자
박동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