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록 ()

유교
문헌
조선후기 학자 최좌해가 문인들과 문답한 내용을 수록한 강론집. 문답집.
이칭
이칭
용암서재강의퇴록(龍巖書齋講義退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학자 최좌해가 문인들과 문답한 내용을 수록한 강론집. 문답집.
개설

『퇴록(退錄)』이라는 제목은 스승의 강의를 듣고 물러나서 정리한 강의록이라는 뜻을 지닌다. 본서와 그의 다른 저서 『용암서재강의퇴록(龍巖書齋講義退錄)』을 대비할 필요가 있다. 두 책의 제목이 시사하듯이 서로 연관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용암서재강의퇴록』은 「오서총론」, 『효경』 및 『사서』에 대한 주해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출전이 모두 『퇴록』으로 되어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상호 비교 검토가 수행되어야 하지만, 현재 상태에서는 본서가 『용암서재강의퇴록』의 초고 형태인 것으로 추정된다. 즉 문인들이 각자 정리한 1차 초고를 『퇴록』이라는 제목으로 모으고, 이것을 다시 『용암서재강의퇴록』의 체제로 다시 분류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서지적 사항

필사본. 9책. 서문과 발문이 없어서 정확한 저술 시기는 확인할 수 없으나, 18세기 후반에 저술되었고 19세기 전반에 문인들에 의해 편집된 것으로 추정된다.

제14책까지는 오사공란에 정사하였고, 제5책은 오사공란은 아니지만 비교적 정성스럽게 필사하였다. 제67책은 통감 등의 이면지를 활용하여 필사하였고, 제8~9책은 정돈되지 않은 난고에 가깝다. 필사의 상태로 보면 제5책까지가 완성도가 높다.

최좌해는 본서 이외에도 『오서제주절의(五書諸註竊意)』, 『예경고(禮經考)』, 『잡록(雜錄)』, 『잡지(雜識)』, 『용암서재강의퇴록』, 『용암서재일강기(龍巖書齋日講記)』 등의 저술을 남겼고, 모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제2책의 내지에는 일제시기에 메모된 것으로 추정되는 다음과 같은 글이 보인다. “최좌해는 춘천(春川) 사람으로 호는 용암(龍巖)‚ 내암(乃庵)‚ 또는 상지당(尙志堂)이다. 문인이 ‘연정선생(淵正先生)’이라 사시(私諡)하였다. 저서에는 『경서강의록(經書講義錄)』 94책이 있다. 정절(精切)하고 해박(該博)하고 전인(前人)이 미처 주장하지 못한 것을 주장하여 근세 유학가(儒學家)의 거벽(巨擘)이다.” 미호(渼湖) 김원행(金元行)의 문인으로 일찍부터 성리학에 전념하였다.

내용

본서는 『주자어류』와 같이 문인들이 평소에 최좌해에게 수업하면서 필기한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된 것이다.

제1책은 최좌현(崔佐鉉)이 필사한 것이고‚ 제2~4책은 저자의 아들인 최윤수(崔胤秀)가 필사한 것이다. 이 중 제4책의 마지막에는 문인들이 지은 「제문(祭文)」이 수록되어 있는데, 김굉(金轟)·최좌현(崔佐鉉)·이승연(李承淵)·박도홍(朴道弘)·한기진(韓箕鎭)·황기경(黃基敬)·성기한(成紀漢)·성집대(成集大)·이영희(李英熙)·이서(李瑞)·이전(李琠)·박수중(朴受中)·이정렬(李鼎烈)·황기서(黃基書)·남개(南鎧)·황덕홍(黃德弘)·최엄(崔儼)·윤영휘(尹永輝) 등 19명이 그들이다. 다음에는 이영옥(李英玉)·심류(沈瑬)·최좌현·한기진 등 4명이 지은 최좌해의 「화상찬(畵像贊)」 등이 부록되어 있다.

제5책은 박수중·이영희·최엄·김굉·오극상(吳極常)·이전·김홍(金弘) 등이 필사한 것이고, 말미에는 「사시전말(私諡顚末)」이 수록되어 있다. 이는 사시의 발의와 합의과정을 기록한 것으로 아들 최윤수가 가장(家狀) 등을 갖추어 한민계(韓民溪)에게 보인 사실 등을 정리하였다.

제6책과 7책은 기록자가 없다. 제8책은 이전‚ 제9책은 오극상 등이 기록하였는데, 제9책은 앞의 2장만 오극상의 기록이고, 나머지 부분에는 제1책과 동일한 내용이 다시 필사되어 있다. 주로 제자들과 경전(經傳) 및 기타 서적의 어려운 대목에 대해 문답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수학할 때 겪은 일화나 스승의 행적에 대한 내용과 당시 유입된 『천주실의(天主實義)』 등의 서양 서적 및 서양 학문에 대한 비판적 인식도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김원행에게 수학하였다는 점에서 18세기 노론의 경학사상을 이해할 수 있고, 강원도 춘천, 원주 및 경기도 양근 등지에서 활동했다는 점에서 북한강과 남한강 일대 유림들의 학문성향을 이해하는데 참고가 되는 자료라고 하겠다.

참고문헌

『퇴록(退錄)』
『용암서재강의퇴록(龍巖書齋講義退錄)』(최좌해,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경학가사전』(최기석,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