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기광복단 ()

근대사
단체
1910년대에 경상북도 풍기에서 채기중(蔡基中)이 결성한 항일운동단체.
이칭
이칭
광복단, 대한광복단
내용 요약

풍기광복단은 1910년대에 경상북도 풍기에서 채기중이 결성한 항일운동단체이다. 이름과는 달리 풍기 출신은 거의 없고 비밀결사에 적합한 풍기에서 결성되어 '풍기'라는 이름이 붙었다. 대한광복단이라고도 한다. 경상도 북부와 충청도 출신의 의병운동 참가자들이 주도하여 조직하였다. 주요 활동은 무기 구입, 군자금 모집, 단원 보강이었는데 외곽조직을 두지 않고 철저하게 비밀활동을 유지하였다. 1915년에 조선국권회복단과 영남의 항일세력을 규합하여 대한광복회로 발전시켰다. 가장 전투적인 항일단체로 전국적 지부망을 갖추고 국내 항일운동을 선도하였다.

정의
1910년대에 경상북도 풍기에서 채기중(蔡基中)이 결성한 항일운동단체.
개설

1913∼1915년 해외독립운동기지 건설과 관련하여 독립군 군자금 모집과 국내외 연락활동을 전개하였고, 1915년 박상진(朴尙鎭)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回復團)의 일부 인사와 함께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를 결성하여 친일인사, 악질 부호 처단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

설립목적

독립군 양성을 위한 무기 구입 및 군자금 모집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원 및 변천

이 비밀결사의 이름은 ‘풍기광복단’이지만 풍기 출신은 거의 없었고 이곳에 우거(寓居)하거나 의병활동을 위해 머무르던 인사들이 대부분이었다. 예를 들어 이 결사를 이끈 채기중(蔡基中)은 함창군(현재 상주군) 출신이었다. 풍기가 비밀결사의 결성장소가 된 것은 이곳이 8도 이주민들의 출입이 잦아 의병이나 지사들이 은거하여 활동하기 좋은 곳이었기 때문이다.

풍기광복단은 1913년 채기중이 중심이 되어 결성되었는데, 조직의 골격은 이미 1912년 말부터 이루어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초기의 참가자 규모는 10여 명의 소수였다. 주요 인물은 채기중을 비롯해 유창순(庾昌淳, 천안) · 유장렬(柳璋烈) · 한훈(韓焄, 청양) · 강순필(姜順必, 상주 또는 봉화) · 김병렬(金炳烈) · 정만교(鄭萬敎) · 김상옥(金相玉) · 정운홍(鄭雲洪, 괴산) · 정진화(鄭鎭華, 예천) 등이었다. 대개 경상도 북부와 충청도 출신이다.

참가자의 성향은 강순필이 이강년(李康秊) 의진, 유창순 · 한훈이 민종식(閔宗植) 의진에서 활동하고, 유장렬이 후기의병기에 전북에서 의병으로 활동했던 점에서 볼 수 있듯이 의병운동 참가자들이 주도한 조직이었다. 학력은 대체로 유학(儒學)을 배웠거나 무학(無學)인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기질적, 학문적 성격은 풍기광복단이 1915년 조선국권회복단 일부 인사와 대한광복회로 확대 발전할 때 조선국권회복단의 구성원들이 신학(新學)을 학습하고 일정한 경제력을 지녔던 점과 대비가 된다.

한편 풍기광복단이 결성된 이후에는 채기중을 매개로 하여 점차 단원이 보강되었다. 이는 세력 확장에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주요 인물은 양제안(梁濟安) 부자 · 황상규(黃相奎) · 김대지(金大池) · 이각(李覺) 등이었다. 양제안 부자는 풍기 및 만주 일대에서 조직을 정비하며 본 단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황상규 등은 청년지식인집단으로 신학(新學)을 이수하였으며 어느 정도 경제력을 갖춘 인물들이었다. 과거 일합사(一合社)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한 경험도 있었다. 따라서 이들의 영입으로 인적구성과 활동반경은 한층 확대될 수 있었다.

이후 풍기광복단은 1915년 박상진이 이끄는 조선국권회복단 일부 인사와 영남에서 분산적으로 활동하던 항일세력을 규합하여 대한광복회로 확대 발전하였다.

풍기광복단의 조직과 활동은 끝까지 비밀이 유지되어 일제강점기 전 기간을 통해 철저히 은폐되었고, 1918년 대한광복회 조직이 발각되었을 때에도 풍기광복단의 결성사실은 노출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해방 후에 생존단원인 한훈에 의해 비로소 그 존재가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기능과 역할

비밀결사의 특징상 뚜렷한 외곽조직을 갖지 않고 생업에 종사하며 비밀회합을 통해 진로를 모색하는 등 철저하게 비밀활동을 유지하였다. 주요 활동은 무기 구입, 군자금 모집, 단원 보강이었다. 본 단을 이끌었던 채기중은 강병수와 함께 자금탈취계획을 세우고 영월에 일본인이 경영하는 중석(重石) 광산에 광부로 잠입하여 활동하였다.

또한 대구의 상덕태상회(尙德泰商會)와 영주의 대동상점(大同商店) 그리고 안동 이종영(李鐘韺)의 자택 등을 이용해 각지의 지사 및 만주의 독립운동기지와 연락을 취하고 독립운동자금을 확보하였다. 가장 역점을 둔 활동은 단원을 보강하는 일이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풍기광복단 시기의 표면적인 활동은 적었던 것이 사실이었다. 반면 1915년 대한광복회로 확대된 시기 이후에는 친일 지주 · 부호나 일본인을 처단하는 과정에서 실행을 맡았다.

의의와 평가

동시대에 결성된 비밀결사 중 가장 전투적인 성향을 갖춘 항일단체로서, 1915년 대한광복회로 조직을 발전시킨 후에는 전국적 지부망을 갖추고 국내 항일운동을 선도하였다. 1918년 조직 일부가 노출되었으나 잔존세력은 1919년 3 · 1운동 이후에도 투쟁을 계속하였다.

참고문헌

「광복회 명칭과 성격에 대한 검토」(이성우, 『한국근현대사연구』 41, 2007)
「풍기광복단」(조동걸, 『한국독립운동사사전』 7, 2004)
「일제하 채기중의 항일투쟁과 그 성격」(김희주, 『동학연구』 17, 2004)
「일제하 대한광복단의 조직변천과 그 특질」(김희주, 『정신문화연구』 95, 2004)
「대한광복회」(조동걸, 『한국사연구』 42, 1983)
집필자
서동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