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우수영지 ()

인문지리
문헌
1851년 무신 구장화가 전라우수영의 제반 사항을 기록한 지리서. 수영지.
정의
1851년 무신 구장화가 전라우수영의 제반 사항을 기록한 지리서. 수영지.
개설

전라우도(全羅右道)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구장화(具將和)가 1850년(철종 1) 10월부터 1851년(철종 2) 3월까지의 공문서를 날짜 순으로 수록하여 중앙에 올린 수영지로서, 재임 중의 공문서를 모아서 편찬한 책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본(규 27528)이 있다.

서지적 사항

1책(27장)으로 구성된 필사본이며, 크기는 세로 52.5㎝ 가로 29.7㎝이다.

내용

이 책은 전라우도 수군절도사 구장화가 재임 중에 중앙으로 올린 공문서들을 모아 편찬한 책으로‚ 1850년(철종 1) 10월부터 1851년(철종 2) 3월 사이에 작성된 공문서가 날짜 순으로 수록되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전임 수사와의 인수인계와 도임 경과, 관하 12개 군현 수령들의 추동등금송근만단자(秋冬等禁松勤慢單子)‚ 18개 소관 진의 첨사 만호에 대한 추동등포폄실적단자(秋冬等褒貶實績單子), 관하 각진변장(各鎭邊將)에 대한 포폄 내용‚ 관하 전선대장(戰船代將)에 대한 추동등시사(秋冬等試射) 결과와 근무평가‚ 수사와 관하 변장들의 자망군관(自望軍官) 명단‚ 대왕대비와 철종에게 올린 신년 전문(箋文) 다섯 건, 관하 신임 첨사(僉使)·만호(萬戶)·우후(虞侯) 등의 부임 경과, 충청병사(忠淸兵使)로 이배한다는 내용을 통보받았다는 내용‚ 1850년(철종 1)에 도노고잡(逃老故雜)으로 대정(代定)한 수륙군의 각 읍별 현황 보고 등이다.

그 외에 풍랑으로 인한 제주도 표류민에 대한 보고가 있는데, 일본 오도(五島)에 2명, 시라도(時羅道)에 4명이 표류되었던 사실과 이들을 취조한 내용이 담겨 있다. 이양선에 관한 보고로는 영광군과 고군산진 등에 출몰한 이양선과 나주 비금도에 표류해 온 이양선 선원들에 관한 내용이 있다.

의의와 평가

19세기 중엽 전라우수영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군절도사의 일반적인 소관 업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수령들의 단자와 포폄 등의 내용을 통해 당시 관원들의 업무 실태를 알 수 있다. 자국인과 외국인 표류민에 대한 처리과정의 기록은 조선 후기 표류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이양선에 관한 보고 내용은 당시 이양선 출몰이 빈번해지고 있던 국제정세를 반영하며, 이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파악과 대응을 짐작하게 해준다. 이처럼 전라도를 비롯하여 조선 해군사 연구, 전라도 지역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호우수영지(湖右水營誌)』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e-kyujanggak.snu.ac.kr)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