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지도 ()

천하도지도(여지도 제1첩)
천하도지도(여지도 제1첩)
인문지리
문헌
문화재
세계지도를 비롯한 동부아시아 지도와 조선 8도의 지도 등을 수록한 지도집.
정의
세계지도를 비롯한 동부아시아 지도와 조선 8도의 지도 등을 수록한 지도집.
내용

200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3책의 지도책으로, 1책에는 서구식 세계지도인 천하도지도(天下都地圖), 조선전도인 아국총도(我國摠圖), 청나라의 수도인 북경 지도인 북경도성삼가유시오단팔묘전도(北京都城三街六市五壇八廟全圖), 중국지도, 의주-북경 사이의 사신로(使臣路)를 그린 지도, 도성도, 조선·일본·유구(오키나와)를 합한 동부아시아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2책에는 팔도가 경기도-충청도-전라도-경상도-황해도-평안도-강원도-함경도의 순서로 그려져 있고, 3책에는 청나라의 광역행정단위인 16개의 성(省)이 성경성-직예성-산서성-섬서성-하남성-산동성-강남성-호광성-사천성-강서성-절강성-복건성-광동성-광서성-귀주성-운남성의 순서로 그려져 있다.

지도책의 제작시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데, 조선전도인 아국총도와 도별 지도에 1787년(정조 11)에 신설된 함경도의 장진도호부가 표시되어 있어 최소한 그 이후에 제작되었음이 분명하다. 그리고 1789년(정조 13)에 양주에서 수원으로 옮긴 현륭원이 수원에 표시되어 있는 반면 1795년 이후에 변화된 시흥(始興), 노성(魯城), 이원(利原) 등이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아 그 이전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편찬/발간 경위

지도의 제작자와 제작처 및 제작시기가 표기되어 있지 않아 정확한 편찬 경위를 알 수 없다. 하지만 선명하고 화려한 색감과 정선된 글씨체, 지도첩에 수록된 지도가 일반인들이 요구하는 수준이 아니라는 점을 통해 볼 때 국가에서 제작하여 사용한 것이 거의 분명하다. 이런 관점에서 편찬 경위를 추론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 앞쪽에 수록된 천하도지도는 당시 민간에서 유행하던 현실과 상상을 결합하여 그린 세계지도인 원형천하도(圓形天下圖)나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를 천하로 인식하여 그린 천하도(天下圖)가 아닌 근대적 측량에 의한 서양식 세계지도이다. 이런 계통의 지도가 낱장으로 제작되어 이용된 경우는 드물지 않게 발견되지만 지도책 속에 세계지도로 들어가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둘째, 세부 구조까지 자세한 북경지도와 거리와 방향이 정확한 지도 속에 그려진 사신로가 함께 수록되어 있다는 점 역시 다른 지도책에서 발견하기 어려운 특징이다. 셋째, 조선전도인 아국총도와 도별로 수록된 조선의 팔도 지도는 당시 가장 정확한 지도 중의 하나였던 정상기(鄭尙驥)의 『동국지도(東國地圖)』를 축소하거나 거의 그대로 베낀 지도이다.

넷째, 조선 후기의 중국 지도가 기본적으로 명나라의 행정구역을 기초로 제작된 반면 『여지도』 3첩 속의 중국지도와 16개 성 지도는 청나라의 광역행정단위를 기초로 그려진 것이다. 또한 16개의 성을 그린 지도는 거리와 방향의 정확성을 가장 잘 반영한 최신식의 지도이다. 다섯째, 당시 조선에서 가장 많이 필요로 했던 도시인 조선의 수도인 서울의 도성과 청나라의 수도인 북경의 구조가 자세한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특징들을 통해 볼 때 『여지도』 3책은 첫째, 고을 지도를 제외한다면 당시 국가가 가장 필요로 하는 국내·국외의 지도 거의 대부분을 하나로 묶어 사용하기 위해 편찬되었다. 둘째, 당시 거리와 방향의 정확성을 추구한 최신식의 정보를 최대한 확보하여 사용하기 위해 편찬되었다.

의의와 평가

지도학사적 측면에서 여지도는 대축척의 군현지도를 제외한 당시 국가에서 필요로 했던 모든 지도가 수록되었다. 『여지도』 3책은 정확한 지도를 편찬하기 위해 조선이 세계와 어떻게 교류했는지, 그리고 얼마나 정확한 지도를 확보했는지, 나아가 그런 지도를 확보하기 위해 얼마나 심혈을 기울였는지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지도첩이다.

특히 당시로서는 가장 정확한 최신식의 서구식 세계지도에 기초한 천하도지도, 거리와 방향의 정확성을 추구한 의주-북경 사이의 사신로와 청나라의 광역행정단위인 16개 성의 지도 등을 통해 볼 때 조선이 필요하다면 세계를 있는 그대로 정확하게 그려 파악해볼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었음을 잘 보여준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민간에서도 필사하여 사용했음을 추정할 수 있는 동일 유형의 지도책이 발견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국가에서 제작하여 사용한 이 지도책이 민간으로까지 흘러나가 조선인의 세계관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다고 보기 어렵다. 당시 민간에서 유행하던 가장 일반적인 지도책은 원형천하도-중국도-일본도-유구국도-조선전도-도별지도로 이루어진 동람도식 소형 지도책 계통이다.

참고문헌

『조선시대 세계지도와 세계인식』(오상학, 창비, 2011)
『조선의 지도 천재들』(이기봉, 새문사, 2011)
『한국 고지도의 역사』(개리 레드야드, 장상훈 역, 소나무, 2011)
『한국의 옛 지도』(문화재청, 2008)
집필자
이기봉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