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혜학교 ()

단체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탑동에 있는 특수학교.
이칭
이칭
자행학원
목차
정의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탑동에 있는 특수학교.
연원 및 변천

자혜학교는 1969년 4월 정신박약아동을 위한 지도실 개설로부터 시작하여 1971년 3월에 자행학원이 개원되었으며, 1972년 12월에 제1대 이춘섭 교장이 취임하였다, 그 이듬해인 1973년 3월에 지금의 자혜학교가 개교되었다.

이후 1981년에 중학교 병설 인가, 1986년에 고등학교 병설 인가가 되고 1997년에는 유치원 병설 인가가 되어 유치원부터 완전한 초중등교육을 담당하는 특수학교로 운영되게 되었다.

한편 1976년에 화정다목적관을 준공하였고, 1997년 9월에 교사 본관을 개축하였으며, 1998년에는 기숙사 및 급식실을 개축하였다.

2005년 당시 사용중인 삼호생활관을 리모델링하고 2008년에는 게임여가문화체험관 ‘HAPPY SPACE’을 개관하여 학생들의 여가를 즐기도록 하였다. 그리고 2010년에는 직업교육관과 가혜기념관을 준공하여 매우 쾌적한 시설을 구비하기도 했다.

자혜학교는 2006년에 생명의 숲, 학교 숲 시범학교와 희망 경기교육 구현 우수학교로 선정되었고, 2007년에는 경기도 특수학교 자율장학모델학교로 운영되었으며 2009년 10월에는 본교 설립자인 가혜 이방자(李方子, 1901~1989) 여사를 기리기 위하여 제1회 이방자여사배 전국특수교육담당교직원 배구대회를 개최하였다.

현황

자혜학교는 정신지체학생들의 특수교육을 위해 이방자 여사의 숭고한 뜻을 받들어 1973년 개교한 사립특수학교로 착하게, 사이좋게, 부지런하게 라는 교훈아래 운영되고 있다. 정보화 사회를 자기 주도적으로 열어가는 역동적인 인간육성이라는 학교 경영 방침아래 2011년 당시 유아과정 4명, 초등과정 30명, 중학과정 24명, 그리고 고등부과정 34명, 전공과정 30명으로 모두 122명이 있었으며, 교직원들로는 교원 33명과 일반직원 27명으로 모두 60명의 교직원이 재직 중이었다.

자혜학교는 급변하는 국제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특수교육 수요자들의 필요와 요구를 최우선으로 하여 학생 개개인의 다양성과 개성을 존중하면서 교과교육과정과 창의적 재량활동 등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자혜학교의 기본 경영취지는 학생의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교육시설의 선진화 및 교육환경의 최적화(Optimal and Amenity)와 맞춤형 개별화교육, 조기통합교육의 활성화 지역사회 현장 중심의 진로 직업교육, 다양한 인적자원을 활용한 특수교육지원체제 구축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 학교의 교육목표는 장애학생들에게 매우 취약한 심리적 적응으로 자신 있게 살아가는 긍정적인 인간지향과 신변의 자립을 위한 기초생활훈련의 강화로 자주적인 인간육성, 그리고 사회적 적응을 위한 통합교육 및 전환교육을 통한 성공적인 사회인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

자혜학교는 학생들의 자립생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활동을 프로그램화하여 실시하고 있다. 통합교육은 주변의 여러 학교들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함께 계획하고 실행하고 있는데 자혜중학교 학생과 호매실 중학교 학생들과의 통합교육, 탑동초등학교 학생들과 부채꾸미기 수업을 통한 통합교육, 칠보산 자유학교 학생들과 신문지를 찢어 공만들기 활동을 통한 통합 수업등이 활발하게 운영되어 상호 이해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재량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자립능력 향상, 상호관계성 증진 등은 매우중요한데, 전공과정 학생들의 경기도 국제 보트쇼 견학은 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할 질서를 지켜며 전시장을 관람함으로써 새로운 정보와 레저활동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동시에 활동 후 느낌을 친구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면서 상호 이해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수원시 권선구 탑동에 있는 가나유통에 나가 2주간의 실습을 하면서 식품제조업체의 역할과 중요성을 익히기도 하고, 특수교육-연계형 장애인 복지일자리 실습생(수원지역) 진로탐색 캠프를 경기도의 희망그린마을과 제천청암학교에서 열어 본교생은 물론 수원서광학교, 수원농생명과학고, 장안고, 숙지고, 청명고, 태장고, 수원정보과학고, 매탄고등의 학생들과 함께 직업과 관련된 전반적인 이해와 실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다. 특히 본 캠프는 수원시청의 지원과 자혜학교 주관으로 이루어진 발달장애학생들을 위한 직업 캠프로 1차, 2차, 3차 산업의 다양한 직업을 직접 경험해 진로 인식과 선택에 큰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방과후 활동은 부족한 교과학습의 지원을 포함하여 실제 생활에 필요한 내용 및 적성과 흥미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참여하는데 안산에 위치한 원예치료실을 찾아가 즐거운 체험활동을 하고 각자의 토피어리 화분을 만들어 보기도하고, 북수원 CGV 영화관을 찾아가 동료들과 함께 영화를 보고 돌아와 감상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이 학교에는 다수의 통학이 불가능한 학생들이 있으며, 이들을 활용할 수 있는 삼호생활관을 운영하고 있다. 삼호생활관은 통학이 어렵거나 단체생활이 필요한 학생에게 취학기회를 제공하기위하여 운영되는데, 생활관에서는 규칙적인 생활을 통하여 기본적인 생활 태도와 자립 기능을 기르고, 가정에서 지켜야 할 기초적인 예절 및 질서의식을 함양하며, 공동생활을 통하여 협동심을 키우고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참고문헌

자혜학교(www.jh.sc.kr)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