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분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최우의 심복으로 장군을 역임한 관리.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미상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장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후기 최우의 심복으로 장군을 역임한 관리. 무신.
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 출신과 가계 등은 기록에 전하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다. 무신집권자 최우(崔瑀)의 문객으로서 도방(都房)에서 활동하던 장군이었다. 1243년(고종 30) 12월 최우는 자신의 후원을 꾸미기 위해 박승분으로 하여금 안양산(安養山)의 잣나무를 강도(江都: 강화도의 임시수도)로 옮겨오도록 했다. 박승분은 이 일의 총책임을 맡아 노역을 독려하였다.

안양산은 당시 수도였던 강화도에서 운반에 며칠 걸리는 거리에 있었다. 박승분은 백성들을 동원해 나무를 운반시켰는데, 추위로 인해 일꾼 중에서 얼어 죽는 사람까지 생겼다. 이로 인해 나무를 운반하는 길가에서 살던 사람들은 집을 버리고 산으로 도피할 정도였다. 당시 어떤 사람은 강화 궁궐 승평문(昇平門)에 방을 써붙여, “사람과 잣나무 중 어느 것이 귀중하냐”고 비난하였다. 이것은 강도 지배층의 호화스러운 생활과 사치를 위해 육지 백성들이 고된 노역에 죽어나가는 참상을 풍자한 것이다. 최우가 자신의 저택 후원을 사치스럽게 꾸밀 수 있었던 것은 강화천도(江華遷都) 이후 천도항쟁이 비교적 성공하고 있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며, 박승분은 그러한 무신집권자의 심복 장군으로서 지배층의 이해관계에 충실한 임무를 수행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의 무인정권』(김당택, 국학자료원, 1999)
『고려무인정권연구』(홍승기 편,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5)
『고려대몽항쟁사연구』(윤용혁, 일지사, 1991)
「고려시대 강화도읍사 연구의 쟁점」(김기덕, 『사학연구』61, 2000)
「최우정권에 관한 소고」(박종익, 조선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88)
「고려의 대몽항쟁과 강도: 강화천도(1232)와 강도 경영을 중심으로」(윤용혁, 『고려사의 제문제』, 삼영사, 198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