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 출신과 가계 등은 기록에 전하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다. 몽골군이 1231년(고종 18) 충주 읍성을 침략해왔을 때, 노군별초(奴軍別抄)의 지휘관인 도령(都令)으로서 노군(奴軍)을 지휘하여 충주읍성을 지켜내는데 성공했다. 당시 충주부사(副使) 우종주(于宗柱) 등 지방관들과 양반별초(兩班別抄)는 모두 도망쳤다. 그러나 이들이 돌아와 은그릇을 점검하여 그 수효가 줄어든 것을 노군의 소행으로 돌리자, 노군은 몽고군이 은그릇을 약탈했다고 주장했다.
이로 인해 호장(戶長) 광립(光立) 등은 노군의 우두머리를 죽이려고 음모를 꾸몄지만, 노군이 이를 알고 반란을 일으켰다. 당시 무신집권자 최우(崔瑀)는 이들을 회유하기 위해 안무별감(安撫別監) 박문수(朴文秀)와 김공정(金公鼎) 등을 파견했다. 노군도령(奴軍都領) 영사(令史) 지광수와 승려 우본(牛本) 등이 회유책을 받아들이자, 최우는 이들을 개경으로 불러들여 포상하였다. 그 결과 지광수는 무관직인 교위(校尉)에 임명될 수 있었다. 이후 우본은 재지세력과 갈등 끝에 충주에서 다시 반란을 일으켰지만, 지광수의 참여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지광수의 영도 하에 치러진 충주성전투는 대몽항전의 진정한 주체가 고려의 하층민이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