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음사 현암 ( )

재령 묘음사 현암 전경
재령 묘음사 현암 전경
정치·법제
유적
북한 황해남도 재령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암자. 묘음사.
이칭
이칭
다람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 황해남도 재령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암자. 묘음사.
개설

묘음사현암은 황해금강(黃海金剛)으로 불리는 장수산의 층암절벽 위에 세워져 있으며, 현암의 동쪽 아래에는 층암절벽 사이로 장수산의 절경인 석동12곡(石洞十二曲)이 있다. 묘음사현암에서 동쪽으로 약 4㎞ 떨어진 곳에 묘음사가 있다.

역사적 변천

묘음사현암의 창건 시기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1701년(숙종 27)에 조성된 『묘음사사적기(妙音寺事蹟記)』에는 “923년(신라 경명왕 7)에 승려 이암(李巖)이 ‘광조사(廣照寺)’라는 절을 처음 세웠고, 이암이 말년에 현암에 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어 현암의 창건 시기를 통일신라로 추정하고 있다. 묘음사현암은 여러 차례 중건되었으며,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조선 중기에 중축된 것이다.

내용

묘음사현암은 묘음사(妙陰寺)에 딸린 암자로서 높이 120m의 암벽 위에 매달아놓은 듯하여 ‘다람절’이라고도 한다. 묘음사현암은 정면 6칸(11.2m), 측면 3칸(6.35m)의 겹처마 합각집이며, 기둥은 높이 솟은 바위를 기단으로 삼아 주춧돌을 놓은 다음 그 위에 세운 흘림기둥이다. 건물이 안정되어 보이도록 기둥들을 안쪽으로 조금씩 기울여 세웠다. 기둥 위에는 주두가 있으며, 여러 겹의 장여로 기둥과 주두, 제공이 물려있다.

두공은 2익공이며, 모서리두공 밑에는 네모모양의 나무토막을 달아 장식하였다. 지붕은 겹처마 합각식이며 용마루, 추녀마루, 처마, 지붕면에 이르기까지 완만하게 휨을 주었다. 마루도리는 연꽃무늬 화반대공이 떠받치고 있으며, 대공의 좌우에는 활개가 있다. 소란반자에는 연꽃무늬가 그려져 있으며, 건물은 모루단청으로 장식하였다.

특징

묘음사현암은 강원도 금강산 만폭동의 보덕암과 더불어 층암절벽 위에 세운 보기 드문 암자이다. 묘음사현암에는 고려시대 형식을 띤 독특한 형태의 소로(小櫨)가 몇 개 있으며, 건물 후면에 툇마루가 배치된 점도 특이하다.

의의와 평가

묘음사현암은 10세기 이전 건축술과 고려, 조선 중기의 건축양식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으로서 민족문화연구에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묘음사현암은 북한의 국보급 제81호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참고문헌

『사진으로 보는 북한 국보유적』(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조선향토대백과』8·9(한국 평화문제연구소·조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5)
『조선대백과사전』24(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1)
『조선유적유물도감』15(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편, 1993)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배움터(www.nrich.go.kr/studyroom)
북한문화재자료관(north.nricp.go.kr)
북한지역정보넷(www.cybernk.net)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