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왕사 호지문 ( )

고산 석왕사 호지문 정면
고산 석왕사 호지문 정면
정치·법제
유적
북한 강원도 고산군에 있는 조선전기 석왕사 대웅전 앞에 세워진 문(門). 사찰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 강원도 고산군에 있는 조선전기 석왕사 대웅전 앞에 세워진 문(門). 사찰문.
역사적 변천

석왕사는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조선 태조 때 세워졌고, 양로사와 함께 설봉산에 있다고 하였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부 서쪽 4리 설봉산에 있으며 태조가 잠저(潛邸)할 시에 신승인 무학(無學)이 석왕의 꿈을 꾸어 석왕사라고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석왕사는 고려 말에 창건된 후 조선 태조 때에는 보광전을 비롯하여 응진당, 명부전, 나한전, 대장전, 수군당, 천진당, 용비루, 황매당, 종루 등 50여 채의 크고 작은 건물들이 세워졌던 큰 사찰이었다. 석왕사호지문은 한국전쟁 때 소실되었다가, 전후에 복구하였다.

내용

석왕사 호지문은 1392년(태조 1)에 석왕사 대웅전 앞에 세워진 문이다. 호지문은 정면 3칸(10.2m), 측면 2칸(5.06m)이며, 박공지붕을 이은 5포식 건물이다. 가운데 칸은 넓게 하여 문길로 사용하였고, 좌우측 칸은 벽으로 막아 그 안에 사천왕상을 두었다. 단청은 간략하게 묘사한 모루단청으로 장식되어 있다.

특징

석왕사 호지문의 두공은 포의 수, 짧고 간결하게 다듬은 제공, 첨차의 밑면가공 등에서 1386년에 지은 석왕사 응진당의 두공과 거의 같은 것으로서 초기 다포(多包)의 특성이 잘 나타나 있다.

의의와 평가

석왕사 호지문은 응진당 다음으로 오래된 건물로서 고려 말∼조선 초기 사찰 건축 양식과 건축술을 연구하는데 가치가 있는 문화유산이다. 북한의 국보급 제176호로 보존·관리되고 있다.

참고문헌

『사진으로 보는 북한 국보유적』(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조선향토대백과』11(한국 평화문제연구소·조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5)
『조선유적유물도감』15(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편, 1993)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배움터(www.nrich.go.kr/studyroom)
북한문화재자료관(north.nricp.go.kr)
북한지역정보넷(www.cybernk.net)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