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불사 사적비 ( )

사리원 성불사 사적비 정면
사리원 성불사 사적비 정면
정치·법제
유적
북한 황해북도 사리원시 정방산(正方山)에 있는 조선후기 성불사의 연혁을 기록한 사적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 황해북도 사리원시 정방산(正方山)에 있는 조선후기 성불사의 연혁을 기록한 사적비.
역사적 변천

성불사사적비는 1727년(영조 3) 성불사 앞에 세워진 것으로 서산대사의 6세(世) 문인(門人)인 수월(水月)재현(載玄)이 병서(竝序)와 전액(篆額)을 썼다. 사적비에는 성불사의 연혁이 기록되어 있다. 현재 탁본(拓本)은 전해지지 않는다.

내용

성불사사적비의 내용을 보면, 성불사는 정방산(正方山)에 있으며, ‘성품을 회복한다(復姓)’는 의미로 성불(成佛)이라고 지었다고 한다. 성불사는 898년(효공왕 2)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하였고, 뒤이어 승려 나옹(懶翁)이 흥기하여 절을 크게 지었으며, 단청을 하고, 소나무를 심는 등 유적(遺迹)을 일으켰다고 한다. 1646년(인조 24)에 극락전에 원인 모를 화재가 발생하여 동쪽 건물이 무너졌고, 1650년(효종 1)에는 언택(彦澤)이 대웅전을 보수하여 전(殿)의 형세와 규모가 이전과는 달라졌으며, 뒤이어 선방(禪房)도 만들어졌다고 한다. 1684년(숙종 10)에는 도행(道行)이 두루마리 그림 족자 6개를 가져오고, 곧이어 무게 400근(240㎏)의 대종(大鐘) 하나를 만들었는데, 이 물건들이 절의 구경거리라고 한다. 1709년(숙종 35)에는 필형(弼浻)과 육갑(六甲)이 명부상(冥府像)을 만들고, 1711년(숙종 37)에는 당(堂)을 건립하고 안녕을 빌었으며, 산중의 촌민(村民)들이 양전(良田)을 절에 바쳤다고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성불사사적비는 성불사의 연혁과 당시 상황 등이 기록된 귀중한 역사유적으로서 북한의 보존급 제1127호로 보존·관리되고 있다.

참고문헌

『조선향토대백과』11(한국 평화문제연구소·조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5)
북한지역정보넷(http://www.cybernk.net)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http://gsm.nricp.go.kr)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