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화사 ()

평양 용화사
평양 용화사
정치·법제
유적
북한 평양직할시 모란봉구역에 있는 일제강점기 에 창건된 사찰.
이칭
이칭
룡화사(龍華寺)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 평양직할시 모란봉구역에 있는 일제강점기 에 창건된 사찰.
역사적 변천

용화사는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 창건된 사찰로서 1980년에 복구한 법당과 사무실 2동을 갖추고 있는 시내 포교당이다. 『태고사사법(太古寺寺法)』에 따르면, 용화사는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면 미상리의 용미산에 있었고, 일제강점기 31본산(三十一本山) 체제 하에서는 법흥사의 말사였다고 한다. 용화사는 일제강점기 초 많은 땅과 임야를 소유할 정도로 융성하였으며, 대성산 광법사(廣法寺)가 중창되기 전에는 외국 불교계 인사들이 자주 들렀던 절이었다.

내용

용화사는 평양시 모란봉구역 개선동의 고노골에 조성된 개선청년공원 안에 있다. 용화사 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겹처마합각집이다. 포식 두공을 사용하였으며, 단청은 장식하지 않았다. 대웅전 안에는 불단 위에 석가여래(釋迦如來)를 중심으로 관세음보살상과 세지보살상이 나란히 있다. 불상의 뒷벽에는 후불탱화가 걸려 있으며, 천장은 우물반자이다. 용화사에는 홍복사6각7층탑과 영명사불감이 옮겨져 있다.

홍복사6각7층탑(弘福寺六角七層塔)은 원래 홍복사터(평양시 평천구역 평천동)에 있던 고려 중기 이후의 석탑이다. 이 석탑은 일제강점기인 1933년에 금수산 을밀대 부근으로 옮겨졌다가, 이후 용화사 앞뜰에 세워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영명사불감(永明寺仏龕)은 고구려시기의 석조불감으로 모란봉 청류벽 위의 영명사터(평양시 중구역)에 있던 것을 옮겨놓은 것이다.

특징

용화사 대웅전은 지붕의 옹색한 모습, 정면 문살의 형태, 건물에 단청 장식이 없다는 점 등을 볼 때 일제강점기에 형식적으로 지어 놓은 듯한 느낌을 준다.

의의와 평가

용화사는 일제강점기 사찰의 건축양식과 건축술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이다. 북한의 국보급 제163호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참고문헌

『사진으로 보는 북한 국보유적』(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조선향토대백과』1(한국 평화문제연구소·조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5)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배움터(www.nrich.go.kr/studyroom)
북한문화재자료관(north.nricp.go.kr)
북한지역정보넷(www.cybernk.net)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