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포공업대학 ()

목차
학교교육
단체
북한의 평안남도 남포시 항구구역 하대두동에 있는 공장대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의 평안남도 남포시 항구구역 하대두동에 있는 공장대학.
내용

남포제련종합기업소에서 일하면서 배우는 교육체계의 일환으로 1960년 9월 1일 설립되었다. 남포제련종합기업소를 비롯한 남포 시내 여러 공장, 기업체에 근무하는 노동자들을 지식인으로 양성, ‘온 사회의 인텔리화’와 생산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대학에는 유색야금학과, 화학공학과, 기계공학과, 전기공학과 등의 학과와 관리자 양성반이 있으며, 남포유리공장 분교가 있다. 강의는 기초과학 강좌, 야금공학 강좌, 화학공학 강좌, 기계공학 강좌, 전기공학 강좌 외 사회과학 강좌, 외국어 강좌가 있으며, 김일성과 김정일 혁명사상 강화 목적의 정치사상 과목도 개설되어 있다. 또한 기초과목과 전공과목 강의를 높은 이론 수준에서 실험실습과 현장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대학의 교원들과 학생들은 공장, 기업체의 기술혁신과제를 논문 제목으로 설정하여 연구하고 있다.

참고문헌

『조선향토대백과』2(평화문제연구소, 2004)
『조선대백과사전』5(백과사전출판사,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