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귀선 ()

현대문학
문헌
중앙문화사에서 구경서의 시 「서론」 · 「장독대」 · 「선」등을 수록하여 1957년에 간행한 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중앙문화사에서 구경서의 시 「서론」 · 「장독대」 · 「선」등을 수록하여 1957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B6판형. 79면. 중앙문화사에서 1957년 6월 30일에 발행하였다.

서지적 사항

이 시집은 제1부에서 제4부에 걸쳐 22편의 작품, 김윤성(金潤成)의 ‘발(跋)’, 목차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집의 표지와 속표지 사이에 “어머님 묘전(墓前)에 서서”라는 제목의 시인 사진과 육필로 쓴 「야연(夜宴)-어머님 묘전에서」라는 시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이 시집의 제1부에는 「서론(序論)」,「장독대」,「선」, 「도시의 야화(夜話)」 4편이 실려 있다. 「서론」은 “인간과 인간하고 약속하는 시간이 되었다//거침없는 이야기와 노래가/저물어가는 오후 6시에/서로의 서툴은 의견의 주장이 이 곳 도심지대에서 되푸리 되고 있었다”는 구절에서 보는 것처럼 시적 화자의 태도가 매우 논리적이고 사변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장독대」에서는 “계절의 시를 누구보다도 고스란이 안아본채/가장 안정된 기초 위에 설치되어 있다”에서 보는 것처럼 명상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제2부에는 「향수(鄕愁)의 의장(意匠)」, 「어느 지역의 계절」 등 10편이 실려 있다.「향수의 의장」은 “이탈(離脫) 못하는 연륜을 권태와 하품을 반추(反芻)하면서” 살아 온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새로운 출발을 꿈꾸는 작품이고, 「어느 지역의 계절」은 “해마다 백골(白骨)로 화(化)해가는 슬픈/지역(地域)을 수호하기 위하여/낙엽 지는 가을이면 가난과 원한에/더욱 신음(呻吟)하는 그네들의 울음소리에 잠을 못 이루어”라는 표현에서 보는 것처럼 화자의 고향에 대한 애절한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제3부에는 「양등(洋燈)」, 「자화상」등 5편이 실려 있다. 「양등」은 ‘양등’을 소재로 하여 “항상 숨가쁜 운명이기에/상표와 기항지(寄港地)도 마구 잃어버린 채/태양 아래 방황하는 너의 모습이/어느 퇴역군인의 낡은 훈장(勳章)과도 같다”라고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제4부에는 「아가묘(墓)」, 「회귀선(回歸線)」 등 3편이 실려 있다. 「회귀선」은 “어느 지성이 이다지도 예리(銳利)하기에/너는 너의 의지대로의 방향을 잡지 못하고 〈20˚27′〉의 가시울타리 밑에서 오늘도 헤매고 있느냐? 너는 틀림없는 자유의 포로(捕虜)!”에서 보는 것처럼 정체된 자아의 자유를 향한 갈망을 노래하고 있다.

시집의 ‘발문’에서 김윤성은 해방직후 구경서 등과 동인지 『백맥(白脈)』을 발간했던 일을 언급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시집은 『폭음(爆音)』에 이은 구경서의 두 번째 시집으로 사물을 대하는 예리한 감성과 발랄한 발상, 그리고 풍부한 시어의 구사를 그 특징으로 한다. 그의 시는 자연과 인생, 인간과 역사 등의 소재를 철학적으로 다룸으로써 다소 관념적인 경향을 띠는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한국현대문학대사전』(권영민, 서울대출판부, 2004)
『회귀선』(구경서, 중앙문화사, 1957)
집필자
이태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