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부현 ()

현대문학
인물
해방 이후 『꽃과 여인과 과목』 · 『벚꽃 만개』 등을 저술한 시인. 아동문학가.
이칭
이칭
훈류(薰柳)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7년
사망 연도
1986년 1월 14일
출생지
인천 창영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방 이후 『꽃과 여인과 과목』 · 『벚꽃 만개』 등을 저술한 시인. 아동문학가.
개설

1927년 인천에서 출생. 1956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시 「포풀러」가 당선되어 등단했으며, 시집으로 『꽃과 여인과 과목』 등이 있다.

생애 및 활동사항

윤부현은 1927년 인천시 창영동에서 출생했다. 1954년 건국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했다. 1948년 인천 축현초등학교를 시작으로 경희초등학교 등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외길을 걸었다.

1955년 인천 지역의 〈초원동인회(草原同人會)〉에 참가하여 최병구, 박송 등과 동인 활동을 하며 『초원』이라는 동인지를 펴냈다.

1956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시 「포풀러」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시집으로 『꽃과 여인(女人)과 과목(果木)』(모음사, 1965), 『벚꽃 만개』(을지출판사, 1980) 등을 발간했고, 동시집으로 『바닷가 게들』(배영사, 1968), 『장다리 꽃밭』(계림출판사, 1980) 등을 간행했다.

한국문인협회 이사, 현대아동문학가협회 이사, 한국글짓기지도회 이사 등을 역임한 바 있다. 1986년 1월 14일에 타계했다.

상훈과 추모

1980년 현대아동문학상을 수상했다.

의의와 평가

윤부현은 “동시(童詩)가 비예술성과 교육성의 범주에서 벗어나 시도 되어야 하고 아동독자도 이해해야 된다는 조화로움을 정서의 객관화로 극복한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문헌

『장다리 꽃밭』(윤부현, 계림출판사, 1980)
『꽃과 여인(女人)과 과목(果木)』(윤부현, 모음사, 1965)
「윤부현의 동시와 지적 서정성」(김용희, 『아동문학평론』 1986년 봄호)
집필자
이태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