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립국악단 ()

국악
단체
1993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창단한 시립국악연주단체.
이칭
이칭
시립정읍사국악단, 정읍사국악단
정의
1993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창단한 시립국악연주단체.
설립목적

유서 깊은 정읍지역의 전통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ㆍ발전하고 한국 전통음악의 우수성을 국내외에 알리며 전통문화예술의 창조적인 공연을 통해 정읍시민의 정서를 함양하고자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1993년 9월 20일 창단되었다. 역대 국악단장으로 정회천, 유준열, 최상진, 이화동 등이 부임했고, 2013년 현재 왕기석이 정읍시립국악단장으로서 악단을 이끌어가고 있다.

기능과 역할

연 70여회의 시민을 위한 행사와 관내 · 외 각종 공연을 펼치며 국악을 전파하고 있다. 주요 활동사항은 정기공연, 찾아가는 한여름밤의 신명나는 국악공연, 읍면 단위 찾아가는 순회공연, 정읍 내장산 힐링캠프 공연, 정읍 벚꽃축제 축하공연, 정읍 가을축제 특별공연, 정읍 효도문화축제 기념공연, 내장산 단풍축제 공연, 태인 피향정 연꽃문화축제 공연, 정읍 실버문화축제 축하공연, 정읍 가면놀이 페스티벌 축하공연, 정읍 두승산 청정메밀축제 축하공연 등이 있다. 그밖에 정읍교육지원청이 운영하는 교육기부 프로그램인 초등학교 대상 국악공연 「소리나눔 꿈나눔」, 이주여성들을 위한 다문화 특별공연, 정읍시 보건진료원회 주최 「독거노인분들을 위한 봄의 향연」 특별 공연 등에 참여하였다.

1996년 정읍시립국악단이 제작한 「가무악극 정읍사」가 97무주 · 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 공식 예술공연작품으로 선정되었다. 이 작품은 궁중무용ㆍ정읍지역 민속놀이와 무속ㆍ호남 우도농악ㆍ봉서사 영산작법 불교예술ㆍ남도민요ㆍ판소리 등을 토대로 구성되었다. 1998년 12월 창무마당극 「황토현의 횃불」을 정읍ㆍ수원ㆍ서울에서 공연하였다. 이 마당극은 갑오동학혁명의 발상지 고부지역을 배경으로 민중들의 애환과 전봉준장군의 일대기를 그린 작품이다. 2002년 8월 마당창극 「정읍사사랑이야기」(예술감독 임진택, 작곡 · 지휘 이화동)를 춘천국제연극제 개막 축하무대에서 공연했다. 2004년 4월 불우헌정극인의 상춘곡(賞春曲) 국악칸타타(이화동 작곡)를 초연했다. 2005년 극단 미추와 가무악 「상춘곡」(손진책 연출, 박범훈 작곡)을 서울ㆍ부산ㆍ전주ㆍ정읍에서 공연했다. 2006년 9월 문화관광부와 정읍시가 공동 주최한 「제47회 한국민속예술축제」 겸 「제13회 청소년민속예술제」에서 다양한 공연을 선보였다. 2009년 6월 태산선비문화보존회 문화관 개관식에서 식전공연을 했고, 2011년 11월 동초제판소리보존회정읍지부 동초제판소리 기획공연에 참가했다. 2012년 5월 「제45회 황토현동학농민혁명기념제」와 「최덕수열사 24주기 광주민중항쟁 32주년 열사정신계승 정읍시문화제」에 참가해 기념공연을 했다.

그밖에 1998년 10월 2∼4일 미국 오하이오주 미드타운시에서 개최된 세계문화축제 「미드페스트 인터내셔널(Middfest International)」에 한국대표로 참가해 사물놀이ㆍ교방살풀이ㆍ가야금 병창과 한량무ㆍ새야새야파랑새야 기악합주 등을 6차례에 걸쳐 공연하였다. 또한 2003년 8월 ‘수제천(일명 정읍)’ 학술회의 개최 및 원곡 복원연주를 시도하였다.

현황

국악단장 아래 연주단원과 사무단원으로 조직되어 있다. 최근 활동으로 2013년 4월 11일 공연된 「봄의 소리 打」는 정읍시민의 국악작품 선호도 평가회를 거쳐 선정된 작품들로 구성된 참신한 기획으로 주목받았다. 2013년 5월 8일 어버이날 기념식 및 은빛축제 식전공연, 5월 21일 정원박람회 기념 문화예술행사에 참가했다.

의의와 평가

2013년으로 창단 20주년을 맞는 정읍시립국악단은 정읍시민과 정읍시를 위한 수준 높은 문화예술 공연단체로 거듭나기 위하여 악단의 효율적인 운영방식과 창의적이고 다양한 공연 프로그램 기획, 단원들과의 소통 강화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정읍시의 지역문화 발전 및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에 힘쓰고 있다.

참고문헌

『문예연감 2004』(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4)
정읍시청 홈페이지(www.jeongeup.go.kr)
정읍문화원 홈페이지(jeongeup.kccf.or.kr)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