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익 도망시 ( )

조선시대사
문헌
문화재
조선시대 문신 이원익이 부인의 장례 때 만시(輓詩)로 만든 문서. 만장.
정의
조선시대 문신 이원익이 부인의 장례 때 만시(輓詩)로 만든 문서. 만장.
개설

1604년(선조 37)에 이원익(李元翼, 1547∼1634)이 부인 정경부인 영일정씨를 금천(衿川) 오리(梧里)동의 선산에 장례할 때 부인을 애도하고 자신의 애틋한 심경을 읊은 만시로 제작한 만장(輓章) 원본이다. 2009년 10월 16일에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충현박물관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편찬/발간 경위

1603년(선조 36) 11월에 부인 연일정씨가 서울에서 작고하고 이듬해인 1604년(선조 37) 봄에 금천 오리동의 선영에 운구하여 장례를 치를 때 이원익은 부인을 애도하는 만시를 짓고 써서 만장으로 만들었다가 후에 족자로 장정한 것이다.

서지적 사항

이원익이 저지(楮紙)에 세로로 길게 쓴 친필 만장으로, 규격은 세로 120㎝ 가로 30㎝이다. 한시(漢詩) 5언 장율(長律)로 모두 13운 130자이며, 전체가 7줄이며, 별행 끝에 이원익 배송(李元翼拜送)이라는 문귀가 있어 친필본임을 알 수 있다. 연보 등의 자료에 의해 1604년(선조 27)에 제작된 것을 고증할 수 있다.

내용

이 만장은 이원익이 58세 되던 1604년(선조 37) 봄에 전년 11월에 작고한 정경부인(貞敬夫人) 영일정씨(迎日鄭氏)를 선산으로 운구하여 장례를 치를 때 지은 만사를 쓴 것이다. 5언 장율(長律) 13운 130자의 긴 한시이다. 그 내용은 결혼 후 오랜 기간 외지의 관직 생활로 오래 별거케 하였으며, 10여 년간 질병으로 신음할 때 잘 보살피지 못한 연민과 회오(悔悟), 부인의 순박한 품성에 대한 찬미, 그리고 자신이 곧 저승에 따라 가 부부의 인연을 이어가겠다는 애틋한 감정을 읇은 것으로, 읽는 이들에게 깊은 감동을 준다.

이 만시는 이원익의 문집인 『오리집(梧里集)』에 실린 시와 몇 자 차이가 있지만, 이것이 원본이며 문집의 시는 후에 수정한 것으로 생각된다.

의의와 평가

만장은 장례 때 함께 매장하거나 상청(喪廳)에 걸어 두었다가 상을 마친 후 소각하는 것이 관례였으므로 원본이 그대로 전하는 경우가 드물다. 이 만장은 4백년 전의 원본이 잘 보전된 것으로 조선시대의 상장(喪葬) 예속 및 한문학 연구에 소중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오리선생문집(梧里先生文集)』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이영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