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적부리도요

목차
관련 정보
넓적부리도요
넓적부리도요
동물
생물
도요목 도요과의 철새.
이칭
이칭
주걱부리도요
목차
정의
도요목 도요과의 철새.
개설

우리나라에는 이동시기인 봄과 가을에 드물게 도래하는 철새이다. 통과철새로 유부도, 새만금, 낙동강 하구 및 흑산도 등에서 관찰되었고 일부는 동해안에서도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관찰된 최대 개체수는 낙동강 하구의 215개체와 만경강 하구의 200개체이다.

새만금 등 주요 서식지 개발로 인해 최근 개체수가 급감한 종이다. 최근 5년간 우리나라에서는 20개체 이하로 관찰된 보호가 시급한 종이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보호되고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자료집(Red List)에는 위급종(CR: Critically Endangered)으로 분류되어 있다.

내용

날개 길이는 95∼99.5㎜, 부리 길이는 20∼22.5㎜, 부척(跗蹠: 새의 다리에서 정강이뼈와 발가락 사이의 부분)은 20∼22.5㎜이다. 단독 혹은 10∼20개체 이하의 소수 무리로 이동하고 먹이를 찾는다. 주로 좀도요와 민물도요 무리와 혼성하며 2㎝ 이하의 수위를 좋아한다.

번식 시기는 6∼7월인데, 이때가 되면 수컷이 약 100m 이상 상공으로 올라갔다가 급강하하는 과시행동을 하며 암컷을 유인한다. 알의 개수는 2∼4개 정도이다. 포란은 오직 수컷만이 전담한다. 먹이는 작은 다모류, 갑각류의 게류 및 복족류를 주로 먹는다.

현재 전 세계 잔존개체수가 약 450∼1,000개체 이하일 정도로 집중보호가 필요한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다. 번식지는 극동러시아 지역이며 서식지 파괴로 인해 현재 약 150∼320쌍 정도만 번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급격한 개체수 감소 이유는 월동지에서의 남획과 중간기착지인 서해안의 개발이다. 종 보전을 위해서는 중간기착지인 유부도, 낙동강 하구는 물론 흑산도 일원의 서식지 보호가 시급하다.

참고문헌

『(우리가 지켜야 할) 멸종위기의 새』(김성현 외,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12)
『한반도의 조류: 조류현황·소장표본·문헌총람』(원병오·김화정, 아카데미서적, 2012)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새 백 가지』(이우신·김수만, 현암사, 1994)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 생태)』(원병오, 문교부, 1981)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권영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