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부 아프리카, 인디아, 중국 남부에서 겨울을 보내고 스칸디나비아반도, 우크라이나, 몽고, 만주 등에서 번식한다. 일본과 유럽에서는 텃새로 서식한다. 겨울철에 흔히 관찰되는 맹금류이며 산림, 개활지, 평지 등 우리나라 전역에 도래하는 겨울철새이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자료집(Red List)에는 관심대상종(LC: Least Concern)으로 분류되어 있다. 학명은 Buteo buteo이다.
날개 길이는 336∼367㎜, 부리 길이는 20∼26㎜, 부척(跗蹠: 새의 다리에서 정강이뼈와 발가락 사이의 부분)은 68∼83㎜이다. 주로 잡목림의 교목 가지에 둥지를 틀며 전년도의 둥지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번식기는 4∼6월이며 알의 개수는 2∼3개이다.
알은 4∼6일에 한 번씩 알을 낳고 먼저 낳은 알부터 포란한다. 포란 기간은 약 28일 정도이며 육추(育雛: 부화한 조류의 새끼를 키우는 일) 기간은 39∼42일이다. 먹이는 포유류의 설치류나 소형조류이며 양서류의 무미목, 파충류의 뱀류, 곤충의 딱정벌레목 · 매미목 · 나비목 등도 즐겨 먹는다.
지난 10년간 국내 월동 개체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999년에 29개체로 기록되었지만 2010년에는 342개체가 확인되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월동하는 개체 수는 약 500개체 이상으로도 추정된다. 위협요인으로는 번식지 소실, 먹이원 감소 및 밀렵 등인데 지속적인 서식지 보호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