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다리도요사촌 (다리도요)

목차
관련 정보
청다리도요사촌
청다리도요사촌
동물
생물
도요목 도요과의 철새.
이칭
이칭
사할린청다리도요, 오호츠크청다리도요, 북청다리도요
목차
정의
도요목 도요과의 철새.
개설

우리나라의 서해안과 남해안에 주로 서식하는데, 강화도, 영종도, 남양만, 아산만, 만경강, 순천만 및 낙동강 하구 등지에서 확인되었다. 국제적으로는 캄차카반도, 사할린, 오호츠크 연안, 아무르, 우수리, 일본, 중국, 타이완, 필리핀, 보르네오, 미얀마, 인디아 등에서 서식한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보호되고 있으며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자료집(Red List)에는 멸종위기종(EN: Endangered)으로 분류되어 있다. 학명은 Tringa guttifer이다.

내용

날개 길이는 168∼180㎜, 부리 길이는 39∼42㎜, 부척(跗蹠: 새의 다리에서 정강이뼈와 발가락 사이의 부분)은 37∼38㎜이다. 5월 하순에서 6월 중순에 번식하며 한배 알의 개수는 4∼6개이다. 보통 봄과 가을에 약 30∼40개체씩 무리로 서해안 일대에서 확인된다. 먹이는 주로 작은 물고기, 다모류, 갑각류, 복족류 및 새우 등이다.

전 세계 잔존 개체수가 약 500∼1,000개체로 추정되는데, 갯벌 감소와 남획이 가장 큰 위협요인이다. 러시아의 번식지인 사할린에서는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주요 서식지인 서해안과 남해안 갯벌을 보호해야 국제적 멸종위기종을 보호할 수 있다.

참고문헌

『(우리가 지켜야 할) 멸종위기의 새』(김성현 외,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12)
『한반도의 조류: 조류현황·소장표본·문헌총람』(원병오·김화정, 아카데미서적, 2012)
『한국의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적색자료집: 조류』(국립생물자원관, 2011)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새 백 가지』(이우신·김수만, 현암사, 1994)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 생태)』(원병오, 문교부, 1981)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권영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