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교회 ()

개신교
단체
1992년, 북한에 설립된 개신교 교회.
이칭
이칭
칠골교회
단체
설립 시기
1992년
설립지
평양시 만경대구역 칠골1동
상위 단체
조선그리스도교연맹
소재지
평양시 만경대구역 칠골1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칠곡교회는 1992년 북한에 설립된 개신교 교회이다. 1980년대 말 북한은 해외 방문자들에게 예배드릴 장소를 마련해 주고 북한에도 종교의 자유가 보장된다는 것을 드러내기 위해 칠곡교회를 재건하였다. 칠곡교회는 김일성의 외조부인 강돈욱이 시무 장로로 재직한 교회이고, 어머니인 강반석이 태어나고 자라면서 다녔던 곳이며, 김일성 자신도 어렸을 때 이 교회에 다녔다고 한다. 조선그리스도교연맹에 소속되어 있다.

정의
1992년, 북한에 설립된 개신교 교회.
연원 및 변천

1992년 말 평안남도 대동군에 건립된 개신교 교회로, 북한 당국의 토지 증여와 무이자 대부라는 후원으로 건립되었다.

1980년대 말 북한은 해외 방문자들에게 예배드릴 장소를 마련해 주고 북한에도 종교의 자유가 보장된다는 것을 드러내기 위해서 1988년 1월에는 봉수교회를, 11월에는 장충성당의 문을 열었고, 이어 김일성과 그 가족들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었던 칠곡교회를 재건하기로 결정했다. 칠곡교회는 김일성의 외조부인 강돈욱이 시무 장로로 재직한 교회이고, 어머니인 강반석이 태어나고 자라면서 다녔던 곳이며, 김일성 자신도 어렸을 때 이 교회에 다녔다고 한다. 부주석을 지낸 강양욱 목사 역시 어린 시절을 보낸 교회이기도 하다.

교회 건립을 위해 1989년 재일대한기독교회 총회가 1만 달러를 헌금했고, 1994년 1월 복음주의 계통의 부흥사인 빌리 그레이엄(Billy Graham)이 외국인으로서 처음으로 칠곡교회에서 설교했는데, 그는 김일성과 면담하고 클린턴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한 후 김일성의 친서를 받아 클린턴에게 전달하기도 했다. 유병철, 박춘근, 황민우에 이어 현재 백봉일 목사가 시무하고 있다. 2014년 예배당 개수 공사를 마쳤다.

의의 및 평가

북한 지역에도 종교적 자유가 보장된다는 것을 보여 주는 대외 선전용으로 설립된 교회이지만, 남한 및 서구 사회와 교류하면서 외부로부터 자금과 주1의 경제적 지원을 받아들이는 창구의 역할도 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흥수 엮음, 『해방 후 북한 교회사』 (다산글방, 1992)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북한교회사집필위원회, 『북한교회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6)
한국기독교역사학회 편, 『한국 기독교의 역사: 해방 이후 20세기 말까지』 Ⅲ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주석
주1

재해나 재난 따위로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돕기 위한 물자.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